현대硏 "한미 금리차·GDP 대비 자본수지 원화 영향력 증가"
  • 일시 : 2017-12-17 11:00:00
  • 현대硏 "한미 금리차·GDP 대비 자본수지 원화 영향력 증가"



    (서울=연합인포맥스) 전소영 기자 = 2010년 이후 한국과 미국 간 단기 금리 차, GDP 대비 자본수지 및 금융계정, 한국 산업생산 증가율이 원화 강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현대경제연구원은 17일 '환율변동의 결정요인 분석과 시사점'이라는 보고서에서 "외국인 투자자금 유출입이 환율 변동성과 절상률을 높인다"며 이같이 말했다.

    보고서는 환율에 미치는 여러 변수 중 특히 한미 간 단기 금리 차, GDP 대비 자본수지 및 금융계정의 탄력성 계수가 상대적으로 높은 값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한미 간 단기 금리 차가 1%포인트 높아질 때 달러-원 환율 변화율이 1.34%포인트 낮아진다고 분석했다.

    GDP 대비 자본수지 및 금융계정이 1%포인트 올라가면 환율은 0.61%포인트 내려간다.

    보고서는 "수익률 변동에 따른 외국인 투자자금의 유출입이 환율 변동성 및 절상률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평가했다.

    또한, 한국 통화량 증가율이 1%포인트 올라가면 환율은 0.23%포인트 올라가면서 원화 가치를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보고서는 말했다.

    상대국과 비교했을 때 국내 통화량 증가는 원화의 상대적인 공급을 늘려서 원화 가치를 하락시키는 전통적인 메커니즘과 일치하는 셈이다.

    *그림1*





    그 밖에도 한국 산업생산 증가율이 1%포인트 높아지면 환율은 0.14%포인트 하락한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환율 변동성을 줄이기 위해 연구원은 급격한 변동성에 대비한 대응 능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국내 외환시장은 개방성이 높고 경제의 대외 건전성 수준이 높아 대외여건 변화에 따라 비거주자의 투기적 공격에 취약한 시장 구조로 되어 있다.

    연구원은 선물환 포지션 제도, 외국인 채권 투자 과세, 외환 건전성 부담금 등 거시건전성 3종 세트의 적절한 운영과 제도적 강화를 통해 외환시장 변동성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부형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실장은 "환율 변동성이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정부 차원의 실물경제 건전성 유지, 외환시장 불확실성 대응뿐 아니라 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 민간부문의 노력도 병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syjeon@yna.co.kr

    주의사항
    ※본 리포트는 한국무역보험공사가 외부기관으로부터 획득한 자료를 인용한 것입니다.
    ※참고자료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