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송) 11월수출 16.3% 감소..9개월째 마이너스 행진(종합)
수입도 18.3% 줄어..무역수지 흑자 9억6천700만달러
(서울=연합뉴스) 정준영기자 = 11월 수출이 16.3%의 감소율로 9개월 연속 마이
너스 행진이 이어졌지만 감소폭이 다소 둔화됐다.
1일 산업자원부가 잠정 집계한 `11월중 수출입 실적'에 따르면 수출은 125억4천
200만달러(통관기준)로 지난해 같은달(149억8천900만달러)에 비해 16.3% 감소했다.
수입은 115억7천500만달러로 작년(141억6천만달러)에 비해 18.3% 줄었다.
무역수지는 9억6천700만달러 흑자를 기록, 지난 6월의 12억1천만달러 이후 가장
큰 흑자폭을 보였다.
이에 따라 1∼11월 무역수지 누계는 수출이 작년대비 11.7% 감소한 1천388억4천
500만달러, 수입은 11.9% 줄어든 1천298억1천만달러로 90억3천500만달러의 흑자를
낸 것으로 집계됐다.
산자부는 "21.1%의 감소율을 보인 7월을 저점으로 바닥을 다져왔으며 11월에는
약하지만 회복 기미를 보였다"면서 "흑자폭의 확대로 올해 무역수지는 100억달러 흑
자 달성이 가능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주요 품목별 추정치를 보면 반도체가 10억4천만달러로 지난해 같은달에 비해 52
% 감소한 것을 비롯, 컴퓨터(-24%), 철강(-13%), 석유화학(-19%), 유류제품(-39%),
섬유류(-11%) 등의 수출이 줄었다.
선박은 경기 불황의 여파로 선주측의 인도연기 요청이 늘면서 34% 가량 감소한
5억5천만달러 규모로 추정됐다.
반면 자동차의 경우 지난해에 비해 1% 가량 늘어난 12억8천만달러를 기록했고
무선통신기기도 31% 늘었다.
지역별로는 11월20일 현재 미국이 12.1% 감소로 10월(-25.4%)의 테러 충격에서
벗어나는 모습을 보인 반면 유럽연합(-24.5%), 중동(-20.9%), 일본(-24.9%), ASEAN(
-20.7%), 중남미(-9.4%), 중국(-11.8%) 등 주요시장에서 여전히 부진했다.
그러나 동구(24.4%), 러시아(15.2%), 아프리카(25.0%) 등은 호조를 보였다.
수입은 4월 이후 8개월 연속으로 두자릿수 감소율을 보인 가운데 자본재와 원자
재가 20% 안팎씩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 반면 소비재 수입은 9% 가량 늘면서 12개월
째 증가세를 이어갔다.
prince@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주의사항
※본 리포트는 한국무역보험공사가 외부기관으로부터 획득한 자료를 인용한 것입니다.
※참고자료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