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박윤주 기자= 달러 하락세가 급격히 진행되지만 않는다면 아시아 경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26일 아시안월스트리트저널(AWSJ)이 보도했다.
이 신문은 달러약세로 일본의 수출업체들이 어려움을 겪는 등 우려가 점증하면서 일본 외환당국 관리들의 엔매도 시장개입 관련 발언이 늘고 있지만 문제는 '달러약세' 자체라기보다는 하락의 '속도'에 있다고 지적했다.
이 신문은 또 로렌스 마이어 전 FRB 이사를 인용, 달러화가 점진적인 하락세를 보일 경우 오히려 플러스요인이 더 많을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이 신문은 특히 달러약세로 아시아지역 각국의 인플레이션 위협이 줄어든 반면 국내 수요와 일부 증시 장세를 자극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베어스턴스이 마이클 커츠 주식 전략가는 미국에서 유출된 자금이 대다수 아시아로 유입되면서 이 지역 증시의 활황에 불을 지피고 있다며 한국, 대만, 일본의 통화가 강세를 나타낸다면 투자가들은 더욱 이들 지역으로 자금을 이동시키려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자금이 유입될수록 해당국가의 통화는 절상되며 해당통화 가치가 올라 자금이 더 많이 유입되는 선순환국면이 아시아국가들 안에서 진행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신문은 이밖에 달러화에 연동돼 있는 홍콩달러의 경우 달러약세에 동반 하락세를 보이면서 해외 수출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고 수입품 가격 인상으로 3년 동안 지속된 불황의 고통을 경감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또 한국과 호주 등은 달러약세로 인플레이션 위험이 줄어들면서 중기적으로 기준금리 인상에 나서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높아지고 있다며 특히 한국은 원유 전량을 수입에 의존하는 나라로서 달러 약세와 유가 하락이 동시에 진행되며 혜택을 입을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이 밖에도 미국산 수입품의 가격이 내려가면서 소비자 수요 증가를 더욱 부채질할 가능성이 높다고 이 신문은 지적했다.
yoonju@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