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환율 급등락, 헤지습관 키우는 기회로 삼아야 (대체)
(서울=연합인포맥스) 이종혁기자= 기업들은 최근 환율 급락을 앞으로 환 헤지 습관을 키우는 '반면교사(反面敎師)'로 삼아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불과 몇 달새 100원 넘게 하락하는 상황에서 서울외환시장에서 일부 딜러들을 제외하고 웃음을 지을 수 있는 기업 등 관련 참가자들이 몇이나 될까.
환율 급변동에 좌불안석하기는 정부나 기업이나 마찬가지지만 사실 엄밀하게 당 장 피를 흘리는 당사자들은 기업들이다.
금감원에 따르면 기업들의 외환관련 순손실(외화환산손익+외환차손익) 규모는 9 6년 1조9천억원에서 이후 2000년에는 5조6천억원으로 증가세에 있다.
이는 지난 환란 이후 서울 환시에 자유변동환율제가 정착되면서 환율 변동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바로 작년 1천365원까지 급등했던 환율이 올들어 1천200원선 마저 깨버릴 지경 에 이르는 반대양상이 1년만에 나타난 것을 보면 심각성을 절감할 수 있다.
기업들은 이제 서울외환시장도 세계 금융시장의 흐름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지 대임을 인식하고 정부에 환율 대책을 의존하는 자세에서 벗어나 스스로 환위험을 줄 이려고 헤지에 적극 나서야 할 때이다.
환헤지의 절실함을 알고 있는 금융계의 한 관계자는 이제는 환시장에서 무역협 회나 전경련, 상공회의소 등에서 특정 환율 정책을 요구하더라도 정부는 `(특정 정책을) 말하지 않겠다'는 태도를 견지하고 있다.
기업이 당장 환율 급변동으로 입는 손해가 막심하더라도 가능하면 빨리 환 헤지 에 대한 습관을 길러 내성을 키우도록 해야 되기 때문이다.
최근 환율 급락이라는 부정적 상황을 `반면교사'로 삼아 우리 기업들은 최근 환율 급락 상황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다양한 수단을 통해 '환 헤지'전략 마련에 나서야 할 것이다.
기사문의 : 759-5126 liberte@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주의사항
※본 리포트는 한국무역보험공사가 외부기관으로부터 획득한 자료를 인용한 것입니다.
※참고자료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