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가격 버블 발생 않도록 주시<통화정책방향 자료-1>
-최근 국내 부동산 가격 상승은 정부가 경기부양을 위해 부동산 관련 규제를 꾸준히 완화하여 온 데다 금융시장 침체에 따른 대체투자 부족 등이 복합적 작용
-저금리와 이에 따른 풍부한 시중유동성이 부동산 매입 수요를 계속 뒷받침하고 있는 데 주로 기인
-특히 이번 부동산 가격 급등은 저금리를 바탕으로 한 은행 가계대출의 급증(lending boom)에 의해 뒷받침되고 있다는 점이 특징
-이와 같은 최근의 부동산 가격 상승은 가계부문의 과다차입과 연결되어 있어 주식시장 거품보다 더 위험하기 때문에 부동산 가격 버블이 발생하지 않도록 조기에 차단할 필요
-따라서 이러한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신속히 대응할 필요가 있으나 부동산 가격 안정을 위해 정부가 이미 다각적엔 고강도 대책을 시행하고 있는데다 대외여건의 불확실성도 여전히 큰 상황이므로 당분간 사태변화를 지켜볼 필요
기사문의 : 759-5126 liberte@yna.co.kr
(계속)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주의사항
※본 리포트는 한국무역보험공사가 외부기관으로부터 획득한 자료를 인용한 것입니다.
※참고자료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