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경상수지흑자 70억달러 전망<한은 경제통계국장 일문일답>
(서울=연합인포맥스) 이종혁기자= 한국은행은 올해 경상수지가 최대 70억달러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29일 조성종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10월중 국제수지 동향 설명회'에서 11월과 12월에 5-10억달러의 경상수지 흑자를 유지한다면, 연간 60억달러 많게는 70억달러 경상수지 흑자가 날수 있다고 말했다.
이는 당초 한국은행이 전망한 연간 50억달러의 경상수지 흑자 규모를 웃도는 수준이다.
다음은 조 국장과의 일문일답
--연간 경상수지 전망은.
▲11월 현재까지 수출이 호조를 보이고 있다. 11월 중 상품수지는 10월보다 흑자가 좀 줄어들지 않을까 본다. 11월은 10월의 13.8억달러보다 적을 것이지만 12월까지 수출이 현재 추세대로 이어진다면 11월달에 5-10억달러 경상수지 흑자가 날 것으로 보이고 12월도 그 정도로 볼 수있다. 이럴 경우 연간 60억달러 많게는 70억달러 경상수지 흑자를 예상한다.
--10월달 경상수지 흑자가 크게 난 이유는.
▲10월 중 수출이 통관기준 151억달러보다 국제수지 기준으로 집계했을 때 155억달러로 증가했기 때문이다.이는 선박은 소유권이전으로 기준을 잡는데 이달에 인도된 수출이 많았다. 그 부분이 3억6천만달러다.
--12월에 여행수지가 안 좋아질 것인데 5-10억달러 경상수지 흑자는 낙관하는 것 아닌가
▲11월에는 외환보유액운용수익으로 이자를 받아 소득수지가 개선될 요지가 있다. 수출은 10월보다는 규모면에서 적은 수준이 예상되고 있지만 그래도 상당부분 흑자가 날 것이다. 수출은 적은 반면에 소득수지면에서 흑자가 크게 난다.
12월은 아직 구체적인 지표가 없어서 속단하기 어렵지만 대개 연말에 수출이 잘 된다.
--민간에서는 내년에 경상수지 적자를 우려하는데 내년 전망은.
▲하반기들어서 수출이 잘 되는데 내년에도 이런 추세를 유지한다면 상당폭 흑자가 좋을 것이지만 지표가 없어 속단할 수 없다. 현재 무역규모에 비해서 흑자폭이 큰 것은 아니다. 이런 규모에서는 경상수지가 적자와 흑자를 쉽게 왔다갔다 할 수 있다. 또 흑자가 되더라도 100억달러 이상은 힘들고 적자가 되더라도 50억달러 이상은 아니다. 따라서 간단하게 공개적으로 밝히기 어렵다.
--수출의 양말고 수출의 질은 어떤지
▲지금 수출 구성품목이 반도체 무선통신기기 등 정보통신기기 들을 위주로 나아지고 있고 최근 상품구성이 괜찮다. 주력부분인 반도체 정보통신에서 기계류로 확산되고 있어 수출기조는 괜찮다.
한편 전반적으로 모든 품목의 수출이 다 잘되는 것은 아니다. 어쨌든 산업구조가 변화하는 과정에서 성장산업 중심으로 수출이나 내수가 치우친다. 전기 자동차 철강이 잘되고 지역별로 선진국에 대한 수출이 좋아졌다. 중국 동남아도 커지고 있다.
--연말 여행수지 우려는.
▲크게 우려할 정도 아니다. 예전에 보면 12월에 11월보다 출국자가 늘어난다. 이는 관광이 증가해서 늘어나지만 크게 걱정할 정도는 아니다.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주의사항
※본 리포트는 한국무역보험공사가 외부기관으로부터 획득한 자료를 인용한 것입니다.
※참고자료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