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4월 무역수지 기관별 전망치 및 코멘트
(단위:백만달러)
┌─────┬──────┬─────┬────────────────┐
│ 기관명 │폴 전문위원 │ 컨센서스 │코멘트 │
│ │ ├─────┤ │
│ │ │ 무역수지 │ │
├─────┼──────┼─────┼────────────────┤
│ 동양증권 │ 이철희 │ 5,900 │2014년 4월 20일 까지 수출은 전년│
│ │ │ │ 동월비 3.9%, 수입은 -3.3%였음. │
│ │ │ │전년보다 조업일수가 하루 적었던 │
│ │ │ │ 것을 고려하면, 선진국 경기 회복│
│ │ │ │과 신흥국 안정에 따라 지난 3월에│
│ │ │ │ 이어 수출회복이 가속화 되고 있 │
│ │ │ │는 것으로 보임. │
│ │ │ │한편, 수입은 기업들이 원화 강세 │
│ │ │ │로 인한 실적 우려, 그리고 가계의│
│ │ │ │ 심리 위축으로 인한 소비부진이 │
│ │ │ │이어지고 있어 정체된 모습을 보이│
│ │ │ │고 있는 것으로 보임. │
│ │ │ │따라서, 수출회복과 내수부진에 따│
│ │ │ │른 무역흑자 확대 기조는 당분간 │
│ │ │ │원화 강세 압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 │ │ │보임. │
│ │ │ │ │
│ │ │ │ │
├─────┼──────┼─────┼────────────────┤
│ 삼성증권 │ 이승훈 │ 4,277 │1~20일 사이 조업일수가 작년 4월│
│ │ │ │대비 1일 적었음에도 동 기간 수출│
│ │ │ │실적이 전년대비 3.9% 증가하여 월│
│ │ │ │간기준으로 이보다 수출실적 개선│
│ │ │ │될 가능성 높음을 시사. 품목별로 │
│ │ │ │는 신제품 출시 영향에 따른 무선 │
│ │ │ │통신기기, 반도체 등이 상대적 호 │
│ │ │ │조세 보였을 것으로 예상. 또한 │
│ │ │ │미국/EU 등 선진국 경기회복세로 │
│ │ │ │동 지역의 수출증가율이 3월과 마 │
│ │ │ │찬가지로 높은 수준 기록했을 가능│
│ │ │ │성 높음. │
│ │ │ │ │
├─────┼──────┼─────┼────────────────┤
│아이엠투자│ 임노중 │ 3,900 │4월 수출은 전년동월비 7.9% 증가 │
│ 증권 │ │ │한 498.0억 달러, 수입은 5.2% 증 │
│ │ │ │가한 459.0억 달러로 무역수지는 │
│ │ │ │39.0억 달러 흑자 예상. 4월 수출│
│ │ │ │이 양호할 것으로 예상되는 것은 │
│ │ │ │환율부담보다 대외경기회복이 더 │
│ │ │ │긍정적이기 때문. 4월에도 미국, │
│ │ │ │유럽을 중심으로 국내 수출이 증 │
│ │ │ │가했을 것으로 추정됨. │
│ │ │ │ │
├─────┼──────┼─────┼────────────────┤
│ 키움증권 │ 마주옥 │ 3,850 │4월 수출입은 3월보다 증가폭이 확│
│ │ │ │대됐을 것으로 추정(지난해 같은 │
│ │ │ │기간에 비해 6.9%, 4.2% 각각 증 │
│ │ │ │가). 다만 무역수지 흑자 폭은 다 │
│ │ │ │소 감소. 달러-원 환율 하락이 수│
│ │ │ │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 │ │ │우려되지만, 그 폭은 크지 않아. │
│ │ │ │국내외 경기개선 영향으로 수출입 │
│ │ │ │이 완만하게나마 회복되고 있다는│
│ │ │ │판단. 하반기에는 이런 기조가 가 │
│ │ │ │속화될 가능성이 높아. │
│ │ │ │ │
├─────┼──────┼─────┼────────────────┤
│토러스투자│ 김종수 │ 3,840 │4월 수출은 전년 동월비 10%내외 │
│ 증권 │ │ │증가 예상. │
│ │ │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에 대한 수 │
│ │ │ │출 호조가 지속된 가운데 ASEAN등 │
│ │ │ │ 신흥국에 대한 수출도 견조하게 │
│ │ │ │증가한 것으로 추정. │
│ │ │ │4월 수출 호전은 선진국 수출 회복│
│ │ │ │에 힘입어 지난해부터 반복된 증가│
│ │ │ │와 감소에서 벗어나고 있음을 시 │
│ │ │ │사. │
│ │ │ │본격적인 수출 회복을 의미하는 청│
│ │ │ │신호 역할을 할 것임. │
│ │ │ │향후 수출증가율은 10%내외를 나타│
│ │ │ │내는 등 정책당국의 올해 전망 목 │
│ │ │ │표치를 무난하게 달성. │
├─────┼──────┼─────┼────────────────┤
│하이투자증│ 이승준 │ 4,810 │4월 수출 증가율은 선진국 경기 │
│ 권 │ │ │정상화 및 중국 등 이머징 불안감 │
│ │ │ │진정 등 전반적인 글로벌 경기 및 │
│ │ │ │금융시장 개선 및 기저효과 등으로│
│ │ │ │다소 큰 폭으로 개선될 전망. 일 │
│ │ │ │간수출액 기준으로는 3월 대비 소 │
│ │ │ │폭 감소하지만 20억달러를 지속적 │
│ │ │ │으로 상회함에 따라 수출사이클 회│
│ │ │ │복 기대감이 높아질 것임. 미국 │
│ │ │ │경기둔화, 중국 및 이머징 리스크 │
│ │ │ │등 소위 글로벌 3대 리스크에 노출│
│ │ │ │되었던 국내 수출사이클은 3대 리 │
│ │ │ │스크가 진정되면서 점차 회복세가│
│ │ │ │가시화될 수 있다는 판단. 다만 회│
│ │ │ │복 가능성은 높지만 회복 강도와 │
│ │ │ │관련하여 중국 경기의 연착륙 및 │
│ │ │ │소순환상의 개선 여부가 될 수 있│
│ │ │ │음. │
│ │ │ │ │
├─────┼──────┼─────┼────────────────┤
│한국투자증│ 전민규 │ 5,789 │수출 관련 여건이 많이 개선된 것│
│ 권 │ │ │은 아니지만, 대유럽 수출이 지나 │
│ │ │ │치게 위축되어 있어 향후 유럽 경 │
│ │ │ │기 회복에 따라 늘어날 여지도 있 │
│ │ │ │는 점 등을 감안하면 수출은 완만│
│ │ │ │한 수준이나마 증가세를 유지할 것│
│ │ │ │으로 예상. 반면 내수 위축에 따른│
│ │ │ │수입 부진으로 무역수지 흑자는 폭│
│ │ │ │발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임. │
│ │ │ │ │
├─────┼──────┼─────┼────────────────┤
│KB투자증권│ 문정희 │ 4,800 │전월에 이어 중국, 유럽 수출은 증│
│ │ │ │가세가 이어질 전망이며, 대미 수 │
│ │ │ │출은 1~2월 한파 영향에 따른 부진│
│ │ │ │에서 3월부터 기존 추세로 회복, │
│ │ │ │대일 수출 역시 전년비 마이너스 │
│ │ │ │수출증가율이 개선될 전망 │
│ │ │ │수입에서는 원자재, 자본재, 소비 │
│ │ │ │재 등의 증가가 예상. 환율로 수│
│ │ │ │입단가는 하락하겠지만 경기회복 │
│ │ │ │등으로 수입수요가 전월에 이어 개│
│ │ │ │선될 것으로 예상. │
│ │ │ │ │
├─────┼──────┼─────┼────────────────┤
│KDB대우증 │ 서대일 │ 5,800 │- 코멘트 없음 - │
│ 권 │ │ │ │
└─────┴──────┴─────┴────────────────┘
(서울=연합인포맥스)
jheom@yna.co.kr
주의사항
※본 리포트는 한국무역보험공사가 외부기관으로부터 획득한 자료를 인용한 것입니다.
※참고자료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