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부, 두달째 '경기회복 조짐'…"부문별 회복 속도는 차이"(종합)
  • 일시 : 2023-12-15 10:25:36
  • 기재부, 두달째 '경기회복 조짐'…"부문별 회복 속도는 차이"(종합)

    "물가 상승세 둔화 흐름…공급망 불안 등 대외 불확실성 지속"

    "소비 예상보다 회복 속도 느려…고금리 영향 하반기부터 본격화"



    [연합뉴스 자료사진]


    (세종=연합인포맥스) 최욱 기자 = 기획재정부가 두 달째 반도체를 비롯한 제조업 생산·수출을 중심으로 경기 회복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고 진단했다.

    다만, 소비 등 일부 지표가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어 부문별로 회복 속도에 차이가 있다고 평가했다.

    기재부는 15일 발간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12월호'에서 "반도체 등 제조업 생산·수출 회복 및 고용 개선 흐름 등으로 경기 회복 조짐이 서서히 나타나는 모습"이라고 밝혔다.

    공식적인 경제 진단에서 지난달에 이어 두 달 연속 '경기 회복 조짐'을 언급한 것이다.

    물가에 대해서는 상승세 둔화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경제 부문별로 회복 속도에는 차이가 있다고 부연했다.

    이승한 기재부 종합정책과장은 "소매판매액을 보면 분명히 좋지 않다"며 "소비는 예상했던 흐름보다는 회복 속도가 많이 느려진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소비자심리지수도 7월과 8월 피크 이후 조금씩 빠지고 있다"며 "고물가 영향이 기본적으로 있는 것 같고 고금리 영향이 올해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대외적으로는 정보기술(IT) 업황 개선 기대와 글로벌 회복세 약화 우려가 교차하는 가운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중동 정세 불안 등 지정학적 리스크와 공급망 불안 소지로 불확실성이 지속하고 있다고 봤다.

    이 과장은 글로벌 회복세 약화와 관련해 "중국의 내수 쪽이 충분하게 회복하지 못하고 있어서 내년까지 성장률이 괜찮을지 경계감이 있다"며 "고금리가 오랫동안 지속됐는데 언제까지 미국 사람들이 잘 소비를 하고 버텨줄까 긴장하면서 지켜보고 있다"고 했다.

    (세종=연합뉴스) 김주형 기자 = 이승한 기획재정부 종합정책과장이 15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3년 12월 최근경제동향을 브리핑하고 있다. 2023.12.15 kjhpress@yna.co.kr


    기재부의 분석대로 수출이 반등에 성공한 것과 달리 소비 등 일부 지표는 부진한 상황이다.

    10월 광공업 생산과 서비스업 생산은 전월보다 각각 3.5%, 0.9% 감소했다. 전산업 생산도 1.6% 줄었다.

    소매판매와 설비투자는 전월 대비 각각 0.8%, 3.3% 감소했다. 건설투자는 0.7% 늘었다.

    11월 수출은 자동차, 선박, 2차전지 등이 호조를 보이면서 지난해 같은 달보다 7.8% 늘어 2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11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97.2로 전월보다 0.9포인트(p) 하락했다.



    11월 전산업 업황 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70으로 전월 대비 보합을 나타냈고, 12월 전산업 전망 BSI도 69로 전월과 같았다.

    10월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보다 0.1p 낮아졌지만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0.3p 올랐다.

    11월 취업자 수는 작년 같은 달보다 27만7천명 늘었지만 증가 폭은 전월(34만6천명)보다 줄었다. 실업률은 2.3%로 1년 전과 동일했다.

    11월 소비자물가는 1년 전 같은 달보다 3.3% 올라 전월(3.8%)보다 상승 폭이 둔화했다.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에너지 제외 지수와 농산물·석유류 제외 지수는 각각 3.0%, 3.3% 상승했다.

    기재부는 "물가 등 민생 안정에 최우선 역점을 두면서 대내외 리스크의 철저한 관리와 경제 체질 개선 노력을 병행하겠다"며 "수출 중심의 경기 회복세를 경제 전반으로 확산하기 위한 노력도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wchoi@yna.co.kr

    주의사항
    ※본 리포트는 한국무역보험공사가 외부기관으로부터 획득한 자료를 인용한 것입니다.
    ※참고자료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