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릭 슈미트 前 구글 CEO "엔비디아가 AI 최대 승자될 것"
(서울=연합인포맥스) 강수지 기자 = 에릭 슈미트 전 구글 최고경영자(CEO)는 거대 기술기업들이 엔비디아(NAS:NVDA) 기반의 인공지능(AI) 데이터 센터에 3천억 달러 수준의 대규모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며 그렇다면 주식시장에서 무엇을 해야 할지 알 것이라고 말했다.
15일(현지시간) 지난 10년 동안 구글을 이끌었던 슈미트는 최근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열린 강연에서 "기술 대기업들과 얘기해보면 그들이 AI 인프라에 200억 달러에서 500억 달러, 최대 1천억 달러까지 필요하다고 말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강연 영상은 이후 삭제됐지만, 그는 "주식 시장에서 구글 주식을 사는 것 외에 분명한 선택이 있다"고도 전했다. 다만 그는 엔비디아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슈미트는 "대기업들이 엔비디아 기반의 AI 데이터 센터에 점점 더 많은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며 "이 센터를 구축하는 데 최대 3천억 달러가 소요될 수 있으며 막대한 자금의 상당 부분이 데이터 센터의 AI 칩을 주도적으로 생산하는 엔비디아로 흘러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엔비디아는 이미 3분기 연속으로 200% 이상의 매출 증가를 기록했다며 "구글은 텐서 프로세싱 유닛(TPU)이라는 칩을 개발했지만, 이는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고 말했다.
슈미트는 지난 2001년부터 2011년까지 구글 CEO를 역임했으며 2019년까지 이사회에 남아있었다. 스탠퍼드 학부생들을 대상으로 AI에 대해 강연했다.
그는 월스트리트저널과의 인터뷰에서 이번 강연에서 구글의 느슨한 업무 문화를 언급한 부분에서 발언 실수가 있었다며 영상에 대한 삭제를 요청했다고 설명했다.
영상은 삭제됐지만 그의 솔직한 발언은 엔비디아의 부상을 이끄는 원동력과 2022년 말부터 시작된 생성형 AI 열풍에서 여전히 엔비디아가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슈미트는 "엔비디아가 AI 시장에서 유일한 승자는 아닐 것"이라면서도 "다른 명백한 선택지가 많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선도적인 모델들 간의 격차는 점점 더 벌어지고 있다"며 "불과 6개월 전만 해도 작은 회사들이 많은 돈을 투자했지만, 이제는 확신하기 어렵다"고 전했다.
슈미트는 많은 오픈 소스 도구들이 엔비디아의 CUDA 프로그래밍 언어를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경쟁자들이 엔비디아를 따라잡기 어려울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AMD(NAS:AMD)의 소프트웨어가 엔비디아의 CUDA 코드를 자체 칩용으로 변환하는 데 있어 "아직 작동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2010년 벤처 캐피털 회사인 '이노베이션 엔데버스'를 설립했다. 알파벳 주식 약 1억 4천700만 주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약 240억 달러에 달한다.
sskang@yna.co.kr
주의사항
※본 리포트는 한국무역보험공사가 외부기관으로부터 획득한 자료를 인용한 것입니다.
※참고자료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