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광주, AI·모빌리티 중심으로 육성…산업지형 바꾼다"(종합)
(서울=연합인포맥스) 신윤우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광주를 인공지능(AI)과 모빌리티 산업의 중심지로 키우겠다고 밝혔다.
투자와 입지규제 완화 등을 통해 광주의 첨단 산업 지형을 바꿔놓겠다는 구상이다.
윤 대통령은 5일 광주과학기술원에서 열린 '첨단기술과 문화로 미래를 디자인하는 광주' 주제의 28번째 민생토론회 모두 발언에서 "민주화의 도시 광주가 이제 첨단 기술의 도시, 글로벌 문화 도시로 도약해서 대한민국 성장의 견인차가 돼야 한다"며 "광주는 첨단 기술을 선도할 역량을 꾸준히 축적해 왔고 충분한 역량이 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AI와 모빌리티를 토대로 광주의 첨단 산업 지형을 크게 바꿔 놓겠다"며 "광주는 착실하게 AI 산업의 토대를 잘 다져놓았다"고 평가했다.
광주가 AI 산업의 도약을 위해 준비를 잘해온 만큼 앞으로 중앙정부가 최선을 다해 더 큰 도약을 뒷받침하겠다고 전했다.
윤 대통령은 광주의 AI 사관학교, AI 데이터센터 등을 언급하면서 오는 2027년 개교 예정인 AI 영재고가 차질 없이 개교하도록 세심하게 챙기겠다고 했다.
이어 "이런 AI 인프라 기반들을 활용해서 광주를 자율주행 미래 모빌리티 산업 생태계의 중심으로 육성할 것"이라며 "광주에는 70여개 자율주행차 관련 소부장 기업과 그린카진흥원, 한국자동차연구원 같은 지원 기관들이 모여 있다. 여기에 AI 인프라가 더해진다면 더 큰 시너지를 낼 수 있다"고 언급했다.
앞서 광주 송정에서 영암까지 47km에 이르는 아우토반 초고속도로 건설을 약속드린 바 있는데, 이 도로가 건설되면 AI 기술을 활용한 자율주행차의 실증 테스트베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초고속도로 구축을 통해 광주의 AI 산업과 자율주행차 발전에 힘을 보태겠다"면서 "광주 자율주행 소부장 특화단지에도 향후 5년간 534억원을 투자해 차질 없이 지원하겠다. 100만평 규모의 광주 미래차 국가산단도 그린벨트와 같은 입지 규제를 완화해 신속하게 조성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윤 대통령은 "광주를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글로벌 문화 허브 도시로 만들겠다"며 "문화예술 인프라를 혁신하고 관광상품 개발, 복합문화시설 조성, 브랜드 발굴 등을 지원하겠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광주를 시민이 살기 좋은 활력 넘치는 도시가 되도록 육성하겠다. 복합 쇼핑몰 건립 사업이 추진되고 있고, 간선급행버스(BRT) 구축 등 교통 접근성 개선 사업도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참석자들은 AI와 모빌리티 산업, 문화 인프라, 교통 여건 개선 등을 주제로 토론했다.
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은 AI 데이터센터 2단계 사업이 추진되고 있음을 밝히면서 예비타당성조사(예타) 면제를 검토해달라고 요청했고, 윤 대통령은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윤 대통령은 마무리 발언에서도 "AI 데이터센터 2단계 사업 추진 과정에서 예타 부분을 과감하게, 전향적으로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광주 쇼핑몰 건립을 아낌없이 지원하고, 수질 문제, 여수 세계 섬 박람회 등에도 각별히 관심을 갖겠다고 말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광주 시민을 비롯해 기업인, 문화예술인, 연구자, 학부모, 광주광역시 지방시대 위원 등 80여명이 참석했다.
정부에서 우동기 지방시대위원장,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등이 자리했고, 강기정 광주시장, 성태윤 대통령실 정책실장 등도 함께했다.
ywshin@yna.co.kr
주의사항
※본 리포트는 한국무역보험공사가 외부기관으로부터 획득한 자료를 인용한 것입니다.
※참고자료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