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건일 금통위원 "금리 인하, '성장흐름+금융안정 리스크'가 중요"
(서울=연합인포맥스) 김정현 기자 = 황건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위원은 "향후 금리인하의 시기와 속도를 결정하는 데는 성장 흐름과 함께 기준금리 조정에 따른 금융안정 리스크가 가장 중요한 고려 요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황 위원은 12일 한은이 국회에 제출한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서 주관위원 메시지를 통해 "기준금리 운용 방향에 대해서는 물가가 목표수준으로 수렴할 것이라는 확신이 강해지고 있고, 환율도 레벨이 한 단계 하향 조정되고 있다고 판단된다"면서 이 같이 밝혔다.
이번 통화신용정책보고서는 황 위원이 작성을 주관했다. 금번 보고서부터는 주관 금통위원의 메시지를 포함해 발표한다.
금통위원의 대외 메시지 소통을 강화하기 위한 차원이다. 금통위의 총의를 반영하지만, 주관 위원이 개인의 의견도 반영해서 작성한 것이다.
황 위원은 "경제성장 흐름과 관련해서는 일부 주요국의 경기 우려에 적기 대응하는 한편, 기준금리 조정의 파급시차를 감안할 때 예상보다 더디게 회복되고 있는 내수, 나아가 성장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고 판단했다.
이어 "금융안정 측면에서는 주택가격 상승에 연계된 가계부채 비율이 이미 금융 부문에 리스크로 작용하고 성장을 제약하는 수준으로 높아져 있다"며 "금리인하가 성장과 금융안정에 미치는 영향을 동시에 고려하면서 판단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 위원은 "금융안정과 경기 흐름의 개선이라는 목표 간의 상충 정도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통화정책과 재정정책 그리고 거시건전성 규제와의 적절한 정책조합(policy mix)이 어느 때보다 긴요한 시점"이라고 전했다.
한편 황 위원은 한은 대출제도와 관련해서는 금융기관의 유동성 안전판 역할을 하는 상설대출제도의 유효성 제고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한국은행은 주요국과 비교할 때 대출제도 대상기관의 범위가 좁게 설정되는 등 추가적인 제도 개선 여지가 있다"며 "한은법 개정을 포함한 유효성 제고 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했다.
jhkim7@yna.co.kr
주의사항
※본 리포트는 한국무역보험공사가 외부기관으로부터 획득한 자료를 인용한 것입니다.
※참고자료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