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9월 소비자물가 기관별 전망치 및 코멘트
┌──────┬────┬────┬────┬────────────┐
│기관명 │참여자 │전년비 │전월비 │코멘트 │
├──────┼────┼────┼────┼────────────┤
│DB금융투자 │박성우 │1.80% │0.30% │국제유가 하락 및 내수 정│
│ │ │ │ │체에도 추석 명절 효과로 │
│ │ │ │ │소비자물가지수는 전월 대│
│ │ │ │ │비 0.3% 상승 전망 │
├──────┼────┼────┼────┼────────────┤
│KB증권 │권희진 │1.70% │0.20% │명절 전 신선식품 가격이 │
│ │ │ │ │오르는 계절효과가 있겠으│
│ │ │ │ │나, 7월 초부터 빠르게 하│
│ │ │ │ │락한 국제유가의 물가 영 │
│ │ │ │ │향이 가시화되기 시작하면│
│ │ │ │ │서 전월비 상승률 축소 예│
│ │ │ │ │상 │
├──────┼────┼────┼────┼────────────┤
│LS증권 │우혜영 │2.20% │0.70% │음식료와 교통, 호텔/레스│
│ │ │ │ │토랑 등 물가 비중이 높은│
│ │ │ │ │ 항목을 중심으로 상승률 │
│ │ │ │ │하락 지속. 다만 주택가격│
│ │ │ │ │ 상승세가 다시 나타나면 │
│ │ │ │ │서 물가의 급락을 방어하 │
│ │ │ │ │는 요인으로 작용 가능 │
├──────┼────┼────┼────┼────────────┤
│NH투자증권 │안기태 │1.80% │0.30% │올해 9월과 10월 CPI 전년│
│ │ │ │ │대비 상승률은 기저효과 │
│ │ │ │ │하락이 커지는 달임 │
├──────┼────┼────┼────┼────────────┤
│iM증권 │박상현 │1.90% │0.40% │폭염 등으로 인한 신선제 │
│ │ │ │ │품가격 상승 등으로 소비 │
│ │ │ │ │자물가는 전월비 상승하겠│
│ │ │ │ │지만 전년동월 기준으로는│
│ │ │ │ │ 2%를 소폭 하회할 것으로│
│ │ │ │ │ 전망함 │
├──────┼────┼────┼────┼────────────┤
│메리츠증권 │이승훈 │1.70% │0.20% │CPI 상승률이 일시적으로 │
│ │ │ │ │나마 한은 중기목표 밑도 │
│ │ │ │ │는 구간에 진입. 유가 하 │
│ │ │ │ │락/원화 강세로 석유류 물│
│ │ │ │ │가 큰 폭 하락하였으나, │
│ │ │ │ │농산물(폭염/추석), 전기 │
│ │ │ │ │료(하절기 할인구간에서 │
│ │ │ │ │원상복귀) 등 몇 개 요인 │
│ │ │ │ │들이 근원물가에 영향 주 │
│ │ │ │ │는 모습임. 나머지 부문의│
│ │ │ │ │ 유의미한 인플레 압력은 │
│ │ │ │ │없음. 한국 물가는 내년 2│
│ │ │ │ │분기까지 2% 전후에서 등 │
│ │ │ │ │락. 한은 입장에서 물가는│
│ │ │ │ │ 더 이상 금리정책 고려 │
│ │ │ │ │요인 아님. 금융안정 요인│
│ │ │ │ │ 진정되면 언제든 금리인 │
│ │ │ │ │하 착수할 수 있는 환경으│
│ │ │ │ │로 판단. │
├──────┼────┼────┼────┼────────────┤
│신영증권 │조용구 │1.90% │0.40% │9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
│ │ │ │ │전월비 0.4%, 전년동월비 │
│ │ │ │ │1.9% 전망. 8월 생산자물 │
│ │ │ │ │가 상승률은 전년동월비 1│
│ │ │ │ │.6%를 기록하며 올해 들어│
│ │ │ │ │ 처음으로 전월비 둔화됨.│
│ │ │ │ │ 8월 국제유가는 전월비 │
│ │ │ │ │하락했고 원/달러 환율은 │
│ │ │ │ │월평균 1350원대 초반까지│
│ │ │ │ │ 하락하며 수입물가 상승 │
│ │ │ │ │률은 전년동월비 1.8%로 │
│ │ │ │ │크게 낮아졌음. 9월은 통 │
│ │ │ │ │상 날씨와 추석 명절, 여 │
│ │ │ │ │름철 한시적 전기료 누진 │
│ │ │ │ │세 완화 종료 등 계절적인│
│ │ │ │ │ 영향으로 전월비 상승률 │
│ │ │ │ │이 높은 수준을 보임. 이 │
│ │ │ │ │에 따라 9월 소비자물가 │
│ │ │ │ │상승률은 전월비 상승 폭 │
│ │ │ │ │을 확대했을 것으로 예상 │
│ │ │ │ │되나, 전년동월비 상승률 │
│ │ │ │ │은 기저효과의 영향으로 │
│ │ │ │ │소수점 반올림 여부에 따 │
│ │ │ │ │라 물가목표 수준을 하회 │
│ │ │ │ │하는 1.9%를 기록할 것으 │
│ │ │ │ │로 예상. 이후 10월을 저 │
│ │ │ │ │점으로 11~12월 중에는 2.│
│ │ │ │ │0%를 다시 소폭 상회할 것│
│ │ │ │ │으로 전망 │
├──────┼────┼────┼────┼────────────┤
│하나증권 │전규연 │1.90% │0.40% │9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
│ │ │ │ │전월비 0.4%, 전년비 1.9%│
│ │ │ │ │를 기록할 전망. 작황 부 │
│ │ │ │ │진과 추석 수요 집중으로 │
│ │ │ │ │농산물 가격이 상승하며 │
│ │ │ │ │전월비 물가 상승을 견인 │
│ │ │ │ │할 듯. 다만 국제유가 하 │
│ │ │ │ │락으로 에너지 가격 부담 │
│ │ │ │ │이 완화되고 있고, 민간소│
│ │ │ │ │비 부진으로 인한 수요측 │
│ │ │ │ │물가 압력 둔화 기조도 유│
│ │ │ │ │효할 전망. 근원 소비자물│
│ │ │ │ │가가 2% 근방에서 안정되 │
│ │ │ │ │면서 물가 우려는 제한될 │
│ │ │ │ │소지 │
└──────┴────┴────┴────┴────────────┘
(세종=연합인포맥스)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주의사항
※본 리포트는 한국무역보험공사가 외부기관으로부터 획득한 자료를 인용한 것입니다.
※참고자료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