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11개월째 내수부진 진단…"경기개선 제약"
"건설투자 중심으로 내수 회복 지연…소비는 미약한 흐름 지속"
(세종=연합인포맥스) 최욱 기자 =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우리 경제에 대해 건설투자 등 내수 회복이 지연되면서 경기 개선이 제약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KDI는 10일 발간한 '경제동향 10월호'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수출이 양호한 흐름을 지속하고 있으나 건설투자를 중심으로 내수 회복이 지연되면서 경기 개선이 제약되는 모습"이라고 밝혔다.
KDI의 내수 부진 진단은 지난해 12월부터 11개월째 이어지고 있다.
특히 이번 달에는 여러 내수 부문 중에서 건설투자 부진을 강조했다.
KDI는 "건설기성의 감소세가 지속됐다"며 "선행 지표의 누적된 부진을 감안하면 당분간 건설투자는 부진한 모습을 보일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8월 건설기성은 작년 같은 달보다 9.0% 줄어 전월(-5.2%)보다 감소 폭이 확대됐다.
이러한 건설투자의 위축은 누적된 수주 부진으로 건축 부문의 감소 폭이 전월 -8.6%에서 -12.4%로 커졌기 때문이라고 KDI는 분석했다.
상품 소비를 중심으로 소비는 미약한 흐름을 지속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상품 소비를 나타내는 소매판매는 지난 8월 1년 전 같은 달보다 1.3% 줄었다.
승용차(-4.1%)와 가전제품(-4.4%), 통신기기 및 컴퓨터(-14.1%), 의복(-3.5%) 등 대부분의 품목에서 소매판매가 부진한 것으로 집계됐다.
다만, 서비스 소비는 숙박·음식점업의 부진이 완화하면서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다고 봤다.
8월 숙박·음식점업 생산이 전년 동월 대비 보합(0.0%)을 기록한 가운데 예술·스포츠·여가 관련 서비스업 생산은 3.4% 늘어 증가세로 돌아섰다.
수출과 제조업 생산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시각을 유지했다.
KDI는 "ICT(정보통신기술) 수출이 높은 증가세를 지속하는 가운데 제조업 생산이 일시적 조정에서 벗어나며 회복세를 지속했다"며 "생산설비 정비, 임금 협상 등에 따른 자동차 생산 차질이 완화되며 생산과 출하가 증가하는 등 제조업은 회복 흐름을 유지했다"고 했다.
8월 광공업 생산은 작년 같은 달보다 3.8% 증가했다. 수출은 지난달까지 12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우리 경제의 불확실성을 높이는 요인으로는 중동 지역 정세 불안을 꼽았다.
KDI는 "중동 지역의 분쟁이 격화되면서 대외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모습"이라고 분석했다.
wchoi@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주의사항
※본 리포트는 한국무역보험공사가 외부기관으로부터 획득한 자료를 인용한 것입니다.
※참고자료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