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취업자 14만4천명 증가…제조·건설업은 내리막 지속(종합)
  • 일시 : 2024-10-16 08:40:21
  • 9월 취업자 14만4천명 증가…제조·건설업은 내리막 지속(종합)

    건설업 취업자 감소폭 역대 최대…청년층 23개월 연속 감소



    (세종=연합인포맥스) 최욱 박준형 기자 = 올해 9월 취업자 수가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14만명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자 증가 폭이 석 달 연속 10만명을 상회했지만, 건설업과 제조업 취업자는 감소세를 이어갔다.

    통계청이 16일 발표한 '2024년 9월 고용동향'을 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천884만2천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만4천명 늘었다.

    취업자 증가 폭은 지난 7월(17만2천명)과 8월(12만3천명)에 이어 석 달째 10만명을 웃돌았다.

    산업별로 보면 정보통신업(10만5천명),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8만3천명), 운수 및 창고업(7만9천명) 등에서 증가했다.

    반면, 도매 및 소매업(-10만4천명)과 건설업(-10만명), 제조업(-4만9천명) 등에선 줄었다.

    이 가운데 건설업 취업자는 지난 5월부터 5개월 연속 감소세다. 제조업과 도매 및 소매업 취업자도 각각 3개월째, 7개월째 감소세를 지속했다.

    특히 건설업 취업자 감소 폭은 2013년 10차 산업 분류로 개정된 이후 가장 컸다.

    서운주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건설 경기 영향으로 종합건설 쪽에서 취업자가 감소했다"며 "전문직별 공사업은 종합건설의 후행적인 영향을 받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도소매업 취업자는 전자상거래, 무인사업장, 셀프계산 등 이런 부분으로 기본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경기 변동 영향도 있을 수 있어 종합적으로 봐야 한다"고 했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에서 취업자가 27만2천명 늘었다. 30대와 50대도 각각 7만7천명, 2만5천명 증가했다.

    청년층(15∼29세)과 40대에서는 각각 16만8천명, 6만2천명 줄었다.

    청년층의 경우 2022년 11월부터 23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는 7만9천명, 임시근로자는 20만6천명 늘었지만 일용근로자는 12만5천명 감소했다.

    비임금 근로자 가운데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와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각각 1만7천명, 5천명 증가했다. 무급가족종사자는 3만8천명 줄었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3.3%로 1년 전보다 0.1%포인트(p) 상승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15~64세 고용률 역시 69.9%로 0.3%p 올랐다.

    하지만 청년층 고용률은 45.8%로 0.7%p 하락했다.

    실업자는 62만2천명으로 3만9천명 감소했다.

    실업률은 0.2%p 하락한 2.1%였다.

    [통계청 제공]


    wchoi@yna.co.kr

    jhpark6@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주의사항
    ※본 리포트는 한국무역보험공사가 외부기관으로부터 획득한 자료를 인용한 것입니다.
    ※참고자료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