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트럼프+北'…서울환시, 지정학적 리스크 장기화 조짐
(서울=연합인포맥스) 정선영 기자 = 서울외환시장에서 여러 지역의 지정학적 리스크가 겹치면서 장기화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21일 연합인포맥스 일별 종합(화면번호 2150)에 따르면 달러-원 환율은 이날 장중 하락 조정을 받았으나 다시 8거래일 연속 오름세를 보였다.
중국 금리인하와 함께 주요국 통화정책의 영향도 크지만, 각국 지정학적 리스크가 좀처럼 가시지 않는 점도 위험선호를 약화하는 요인으로 꼽혔다.
한 서울환시 외환딜러는 이날 "중국 인민은행 대출우대금리(LPR) 인하에도 북한 특수부대의 러시아 파병 소식에 따른 지정학적 리스크가 강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유가 압박하는 중동 리스크 지속
중동 리스크는 여전히 유가를 뒤흔들고 있다.
미국이 가자지구 휴전 협상을 강조했지만,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인 하마스는 좀처럼 간격을 좁히지 못했다.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가 미국 공화당 대선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과 전화 통화했다고 이스라엘 총리실이 밝힌 점도 주목할 만하다.
이스라엘 총리실은 전일 성명에서 "네타냐후 총리는 그간 공개적으로 말한 내용을 되풀이했다"며 "이스라엘은 미국 행정부가 제기한 문제를 고려하지만 결국 국익에 따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전일 가자지구 북부 베이트 라히야 등에 대한 이스라엘군의 공격은 지속됐다.
특히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의 자택이 지난 19일 무인기(드론) 공격을 받았다는 소식에 오히려 지정학적 리스크는 고조됐다.
◇트럼프 리스크와 미중 갈등 우려·북한 러시아 파병까지
지정학적 위험은 미국 대선과 북한 이슈를 더하면서 더욱 길어지고 있다.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내세우는 관세 정책으로 '미·중 갈등'이 11월 미 대선 이후 더욱 확산될 것이라는 관측이 높아졌다.
만약 미국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될 경우 그동안 주장한 관세 정책은 허세로 그치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
'책임 있는 연방예산 위원회(CRFB)'는 트럼프 후보의 공약 실현을 위해 10조달러가 넘게 필요하다며 이를 상쇄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은 관세라고 지목했다. 미국 정치권에서도 세수에 대한 압박이 커질 경우 관세 정책이 본격화될 수밖에 없다고 분석한다.
북한의 러시아 파병 소식도 위험회피와 원화 약세를 부추기는 요인이다.
전하규 국방부 대변인은 북한이 레드라인을 넘은 것이라며 규탄했다.
로이드 오스틴 미국 국방장관은 지난 19일(현지시간) 북한이 우크라이나 파병을 위해 러시아에 군을 보냈다는 보도를 확인할 수 없으나 사실이라면 우려된다고 밝혔다.
◇글로벌 수출기업들, 지정학적 리스크 위기감 확대
지정학적 위험은 글로벌 수출 기업들에 큰 위험 요인으로 다가오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지난 18일 '지정학적 리스크 장기화의 영향과 대응 조사'에서 총 448개의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전체의 66.3%가 미·중 갈등,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등 지정학적 리스크를 경영 위험 요인으로 인식했다.
대한상의는 실제로 발발 1년에 접어든 '중동 사태'가 최근 주변국으로 확산할 조짐을 보이고 있고, '미·중 갈등'도 11월 미 대선 이후 더욱 확산할 것이라는 관측이 높은 상황이다.
조사된 기업들의 43.1%는 지정학적 위험 피해로 환율 변동, 결제 지역 등의 금융리스크가 크고, 그다음으로 37.3%는 물류 차질과 물류비 증가 등이 크다고 봤다. 에너지와 원자재 조달 비용도 증가할 것으로 봤다.
실제로 미국과 러시아 대상 수출입 기업들은 환율 변동이나 결제 지연 등의 피해를 많이 봤다고 토로했다. 특히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당시 해당국과 거래하고 있던 기업들은 수출 대금 결제가 지연되고, 금융 제재로 외화 송금이 중단되는 피해를 본 것으로 대한상의는 설명했다.
중동 전쟁 이후 홍해 운항이 중단되면서 남아프리카로 우회 운항에 따른 물류비 증가 부담도 커졌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현재 진행 중인 리스크 외에도 대만해협을 둘러싼 갈등, 북한 핵 위협 등 향후 우리 기업 경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잠재 리스크가 상존하고 있다"고 말했다.
syjung@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주의사항
※본 리포트는 한국무역보험공사가 외부기관으로부터 획득한 자료를 인용한 것입니다.
※참고자료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