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부 "4분기 성장률 1.2%보다 상당폭 높아야 올해 2.6% 성장 달성"
"내수 회복세 나타나고 있다고 판단…4분기 수출 여건 불확실성 커져"
(세종=연합인포맥스) 최욱 기자 =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전분기 대비 0.1% 증가하는 데 그친 것과 관련, 기획재정부는 4분기 성장률이 1.2%보다 상당 폭 높은 숫자가 나와야 정부가 목표로 한 2.6% 성장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승한 기재부 종합정책과장은 2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3분기 국내총생산(GDP) 속보치 관련 브리핑에서 이같이 말했다.
정부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2.6%로 한은보다 0.2%p 높은 수준이며, 3분기 실적과 4분기 예상 등을 고려하면 정부의 성장률 전망치 달성은 현실적으로 쉽지 않아 보인다.
이 과장은 "4분기 경기 흐름 자체에 불확실성이 커졌기 때문에 전반적인 경제 여건을 면밀히 짚어볼 것"이라며 "12월에 발표하는 2025년 경제정책방향을 통해 성장률 전망에 대한 수정 여부를 제시하도록 하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4분기는 플러스 측면과 마이너스 측면에서 여러 불확실성이 굉장히 큰 상황이어서 3분기 GDP만을 보고 경기 흐름을 판단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고 덧붙였다.
이 과장은 "고물가·고금리가 완화되고 있고 7월 실질임금이 증가한 게 8월과 9월에도 이어진다면 가계소득 여건도 개선될 것"이라며 "이런 점이 민간소비와 설비투자에 플러스 요인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했다.
그는 3분기 GDP에서 내수 기여도가 0.9%포인트(p)인 점을 언급하며 "내수는 어느 정도 회복세가 나타나고 있다고 보여진다"고 설명했다.
수출에 대해서는 "3분기에는 파업 등 자동차 수출이 꺾이는 일시적인 요인이 있었다"며 "4분기에는 추가적인 작업으로 메워질 것으로 본다"고 했다.
다만, 지정학적 여건 변화와 주요국 경기 불확실성, 정보기술(IT) 업황 사이클에 대한 불확실성 등은 3분기보다 4분기에 더 커진 것으로 진단했다.
이 과장은 "4분기 수출 여건에 대한 불확실성이 플러스 요인인지 마이너스 요인인지는 지켜봐야 한다"며 "올해 글로벌 교역량이 작년보다 나아지고 IT 업황 사이클이 내년 상반기까지 지속된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견해"라고 했다.
wchoi@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주의사항
※본 리포트는 한국무역보험공사가 외부기관으로부터 획득한 자료를 인용한 것입니다.
※참고자료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