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0월 소비자물가 기관별 전망치 및 코멘트
  • 일시 : 2024-10-31 08:00:26
  • [표] 10월 소비자물가 기관별 전망치 및 코멘트



    ┌───────┬────┬────┬────┬──────────────┐

    │기관명 │참여자 │전년비 │전월비 │코멘트 │

    ├───────┼────┼────┼────┼──────────────┤

    │DB금융투자 │박성우 │1.30% │0.10% │제한된 내수 압력, 유가 │

    │ │ │ │ │안정에 소비자물가 전월 │

    │ │ │ │ │대비 0.1% 상승 전망. 전 │

    │ │ │ │ │년 대비 상승률은 10월 최 │

    │ │ │ │ │저(1.3%)로 떨어진 후 11 │

    │ │ │ │ │월부터 1%대 후반으로 반 │

    │ │ │ │ │등 예상 │

    ├───────┼────┼────┼────┼──────────────┤

    │KB증권 │권희진 │1.50% │0.30% │9월 잠시 반등했던 국제유 │

    │ │ │ │ │가가 시차를 두고 소비자 │

    │ │ │ │ │물가에 영향 미칠 것으로 │

    │ │ │ │ │예상. 다만 전년의 기저가 │

    │ │ │ │ │ 높았던 영향으로, 전년동 │

    │ │ │ │ │기비 상승률은 오히려 낮 │

    │ │ │ │ │아질 전망. 이후 이와 같 │

    │ │ │ │ │은 효과 약화되며 재차 2% │

    │ │ │ │ │대 진입 예상 │

    ├───────┼────┼────┼────┼──────────────┤

    │LS증권 │우혜영 │1.70% │0.50% │10월 에너지 하락 추세 완 │

    │ │ │ │ │화 전망. 음식료 가격 하 │

    │ │ │ │ │락 추세 완화 및 중간재 │

    │ │ │ │ │가격 상승으로 전월대비 │

    │ │ │ │ │소비자물가지수 상승폭 확 │

    │ │ │ │ │대 전망 │

    ├───────┼────┼────┼────┼──────────────┤

    │NH투자증권 │안기태 │1.30% │0.10% │기저효과가 강하게 작용하 │

    │ │ │ │ │면서 연내 최저 기록 예상 │

    │ │ │ │ │. 2025년 12월까지 국내 C │

    │ │ │ │ │PI 상승률 궤적에서 2024 │

    │ │ │ │ │년 10월이 최저치일 것으 │

    │ │ │ │ │로 추정 │

    ├───────┼────┼────┼────┼──────────────┤

    │iM증권 │박상현 │1.50% │0.30% │일부 신선제품가격의 상승 │

    │ │ │ │ │ 압력이 있지만 물가는 하 │

    │ │ │ │ │향 안정기조를 유지할 전 │

    │ │ │ │ │망임 │

    ├───────┼────┼────┼────┼──────────────┤

    │상상인증권 │김현성 │1.40% │0.20% │10월 국내 소비자물가는 │

    │ │ │ │ │전월대비 0,2%, 전년대비 │

    │ │ │ │ │1.4% 상승 전망. 지난달 │

    │ │ │ │ │유가와 환율이 안정되며 │

    │ │ │ │ │물가 압력이 약화된 가운 │

    │ │ │ │ │데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 │

    │ │ │ │ │치 하락세로 압축되는 내 │

    │ │ │ │ │수 부진 또한 이를 지지할 │

    │ │ │ │ │ 것. 다만 최근 환율 급등 │

    │ │ │ │ │과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 │

    │ │ │ │ │등 여파에 물가 둔화의 부 │

    │ │ │ │ │침 흐름 예상 │

    ├───────┼────┼────┼────┼──────────────┤

    │신영증권 │조용구 │1.40% │0.20% │10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

    │ │ │ │ │ 전월비 0.2%, 전년동월비 │

    │ │ │ │ │ 1.4% 전망. 9월 생산자물 │

    │ │ │ │ │가 상승률은 전년동월비 + │

    │ │ │ │ │1.0%를 기록하며 2개월 연 │

    │ │ │ │ │속 둔화. 9월 국제유가와 │

    │ │ │ │ │원/달러 환율은 모두 전월 │

    │ │ │ │ │비 하락하며 수입물가 상 │

    │ │ │ │ │승률은 전년동월비 -3.3% │

    │ │ │ │ │로 큰 폭 하락. 최근 원화 │

    │ │ │ │ │ 약세는 래깅효과로 인해 │

    │ │ │ │ │당장 10월 물가에 영향을 │

    │ │ │ │ │미치지는 못할 것이며, 유 │

    │ │ │ │ │류세 인하폭 조정도 11월 │

    │ │ │ │ │부터 반영 예정. 이에 따 │

    │ │ │ │ │라 10월 소비자물가지수 │

    │ │ │ │ │전년동월비 상승률은 전월 │

    │ │ │ │ │ 대비 추가 둔화되며 1.3~ │

    │ │ │ │ │1.4%에 그칠 것으로 예상. │

    │ │ │ │ │ 이후 11~12월 중에는 1% │

    │ │ │ │ │대 후반으로 반등 전망 │

    ├───────┼────┼────┼────┼──────────────┤

    │유진투자증권 │이정훈 │1.30% │0.10% │에너지 및 농산물 가격 전 │

    │ │ │ │ │월비 하락하면서 안정적인 │

    │ │ │ │ │ 물가 흐름 지속. 전년비 │

    │ │ │ │ │상승률은 기저효과에 1% │

    │ │ │ │ │초반까지 둔화되나, 이후 │

    │ │ │ │ │1%대 중후반으로 반등 예 │

    │ │ │ │ │상 │

    ├───────┼────┼────┼────┼──────────────┤

    │하나증권 │전규연 │1.50% │0.30% │10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

    │ │ │ │ │ 전월비 0.3%, 전년비 1.5 │

    │ │ │ │ │%를 기록할 전망. 작년 10 │

    │ │ │ │ │월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

    │ │ │ │ │발발, 국제유가 급등에 따 │

    │ │ │ │ │른 역(-)기저효과로 금번 │

    │ │ │ │ │소비자물가는 에너지 가격 │

    │ │ │ │ │의 하락 기여도가 높아질 │

    │ │ │ │ │듯. 기저효과를 제외하더 │

    │ │ │ │ │라도 한국 소비자물가는 2 │

    │ │ │ │ │% 초반대에서 등락하며 한 │

    │ │ │ │ │국은행 물가목표(2%)에 근 │

    │ │ │ │ │접할 수준을 이어갈 전망. │

    │ │ │ │ │ 수입물가 하락으로 상품 │

    │ │ │ │ │물가의 점진적 둔화 기조 │

    │ │ │ │ │가 유효하며, 소비경기 위 │

    │ │ │ │ │축으로 개인서비스업 물가 │

    │ │ │ │ │ 하락세도 이어지는 중. │

    │ │ │ │ │소비자물가는 2% 근방에서 │

    │ │ │ │ │ 안정되며 상방 리스크 제 │

    │ │ │ │ │한될 전망 │

    └───────┴────┴────┴────┴──────────────┘

    (세종=연합인포맥스)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주의사항
    ※본 리포트는 한국무역보험공사가 외부기관으로부터 획득한 자료를 인용한 것입니다.
    ※참고자료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