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4월 및 중장기 달러-원 전망-①
  • 일시 : 2025-03-31 08:00:06
  • [표] 4월 및 중장기 달러-원 전망-①



    ◇오주영 신한은행 과장

    4월 달러-원 환율도 당분간 달러 강세 기조가 쉽게 꺾이지 않을 전망이다. 단기적으로는 환율이 내려갈 수 있겠으나, 올해 미 연준의 금리 인하 전망도 1월에 축소된 점을 고려했을 때 4월 한 달 동안 달러-원 환율은 지금 레벨에서 밑으로 크게 내려가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

    │ 2025년 4월 전망 │ 2025년 2분기 │ 2025년 3분기 │ 2025년 4분기 │

    │ 치 │ │ │ │

    ├─────────┼─────────┼────────┼────────┤

    │ 1,430~1,480 │ 1,440 │ 1,420 │ 1,400 │

    └─────────┴─────────┴────────┴────────┘

    ◇정용호 KB증권 부부장

    관세 발효 및 국내 탄핵 관련 빅 이벤트로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 다만 기 이벤트와 관련한 우려가 어느 정도 선반영된 점을 고려해 달러-원의 상단은 제한될 전망이다. 리스크 오프 상황에서 당국 개입이 부재할 시 상단은 열릴 소지가 있다.

    ┌─────────┬─────────┬────────┬────────┐

    │ 2025년 4월 전망 │ 2025년 2분기 │ 2025년 3분기 │ 2025년 4분기 │

    │ 치 │ │ │ │

    ├─────────┼─────────┼────────┼────────┤

    │ 1,440~1,480 │ 1,450 │ 1,450 │ 1,430 │

    └─────────┴─────────┴────────┴────────┘

    ◇이상준 산업은행 대리

    4월은 대내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 여부에 따라 변동성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레벨 수준에서의 고점 인식 및 경계감은 과도한 추가 상승을 제한할 것으로 보인다. 작년 강세를 보였던 달러인덱스 흐름이 2025년 1분기에 완화된 것과 별개로 달러-원 환율은 연초 대비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는데, 대내 정치적 불확실성이 해소될 경우 하방 압력이 우위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정치 불확실성이 장기화될 시 연고점 돌파 및 1,480원선까지 상방 압력 가능성을 열어두려고 한다. 4월 배당금 역송금 수요 가능성 또한 하방경직적 움직임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

    │ 2025년 4월 전망 │ 2025년 2분기 │ 2025년 3분기 │ 2025년 4분기 │

    │ 치 │ │ │ │

    ├─────────┼─────────┼────────┼────────┤

    │ 1,430~1,480 │ 1,440 │ 1,430 │ 1,420 │

    └─────────┴─────────┴────────┴────────┘

    ◇홍원재 iM뱅크 팀장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발언에 따라 달러화는 변동성을 동반하는 움직임을 보였고, 향후에도 이러한 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최근의 미 경제지표들이 예상보다 부진함에 따라 미 중장기 금리가 하향 조정 중이고 달러인덱스 또한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나, 지난 3월 저점을 한 단계 낮추는 것은 힘들어 보여 기술적으로 바닥을 다지는 모습이다. 미 경제 부진과 트럼프 관세 발언 등으로 글로벌 유동성 흐름이 유럽과 중국으로 유입되면서 동 지역 주식시장 상승과 환율 강세장이 나타났으나, 이러한 유동성 흐름이 지속될지는 트럼프의 관세 발언과 더불어 주시해야 할 재료로 보인다. 이러한 점을 감안할 때 달러-원 환율도 글로벌 달러화 조정 흐름에 연동될 가능성은 있으나 여전히 하단은 제한적으로 예상되며, 상승 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

    │ 2025년 4월 전망 │ 2025년 2분기 │ 2025년 3분기 │ 2025년 4분기 │

    │ 치 │ │ │ │

    ├─────────┼─────────┼────────┼────────┤

    │ 1,440~1,500 │ 1,470 │ 1,490 │ 1,500 │

    └─────────┴─────────┴────────┴────────┘

    ◇전용진 우리은행 과장

    3월이면 해소될 것으로 예상했던 트럼프의 관세정책과 국내 정치 상황의 불확실성이 오히려 확대되는 양상이다. 이는 달러-원 환율 변동성을 키우며, 하락은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4월 초 정치적 불확실성이 해소된다 해도, 확대되고 있는 거주자의 해외 주식 투자 물량과 FDI 물량 등의 실수급에 의해 환율 하단이 지지 될 것으로 예상된다.

    ┌─────────┬─────────┬────────┬────────┐

    │ 2025년 4월 전망 │ 2025년 2분기 │ 2025년 3분기 │ 2025년 4분기 │

    │ 치 │ │ │ │

    ├─────────┼─────────┼────────┼────────┤

    │ 1,420~1,470 │ 1,420 │ 1,400 │ 1,430 │

    └─────────┴─────────┴────────┴────────┘

    ◇김민수 IBK기업은행 차장

    4월에는 미국의 관세 부과가 시작되는 달이기도 하고, 국내에서는 선거를 앞둔 상황인 만큼 불확실성은 점차 해소되어가는 방향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한다. 관세도 결국 큰 충돌 없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4월에는 지금보다는 레벨이 하향 안정화하지 않을까 싶다.

    ┌─────────┬─────────┬────────┬────────┐

    │ 2025년 4월 전망 │ 2025년 2분기 │ 2025년 3분기 │ 2025년 4분기 │

    │ 치 │ │ │ │

    ├─────────┼─────────┼────────┼────────┤

    │ 1,420~1,460 │ - │ - │ - │

    └─────────┴─────────┴────────┴────────┘

    (서울=연합인포맥스)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주의사항
    ※본 리포트는 한국무역보험공사가 외부기관으로부터 획득한 자료를 인용한 것입니다.
    ※참고자료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