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프리즘] 경제수장의 美국채 투자를 보는 시선
(세종=연합인포맥스) 최욱 기자 =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해 2억원 상당의 미국 국채를 매입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투자의 적절성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환율 방어를 책임지는 외환당국 수장으로서 달러 자산에 베팅한 것이 부적절하다는 지적이다.
다만, 최 부총리는 4억원가량의 우리나라 국채도 보유하고 있어 미 국채 투자만 부각해 비판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는 견해도 있다.
31일 공직자 정기 재산변동사항에 따르면 최 부총리는 지난해 미국채 30년물인 'T1.37508/15/50' 1주를 매입했다고 신고했다.
이 상품은 미국 재무부가 2020년 발행해 2050년 만기가 도래하는 30년 만기 채권이다. 연말 재산신고 시점 보유액은 1억9천712만원이다.
최 부총리가 2억원 상당의 미 국채에 투자했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야당은 경제사령탑으로서 부적절한 처신이라고 맹공을 퍼부었다.
지난해 말 달러-원 환율 종가가 1,472.5원으로 외환위기 당시인 1997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외환시장이 불안정한 상황에서 경제수장이 달러 자산인 미 국채에 투자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다.
익명을 요청한 한 경제 전문가는 "금리 인하와 강달러 기대가 형성된 상황에서 개인 투자자가 미 국채 30년물을 매입하는 것은 현명한 투자가 될 수 있다"면서도 "투자 주체가 경제부총리라면 시장에 부정적인 시그널로 해석될 수 있다"고 말했다.
최 부총리의 미 국채 투자가 이번이 처음이 아니라는 점도 논란을 키웠다.
최 부총리는 2023년 12월 국회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야당으로부터 대통령실 경제수석 시절 1억7천만원 상당의 미 국채를 매수한 사실이 부적절하다는 지적을 받았다.
이에 최 부총리는 "재산신고 전까지 미국채 보유분을 모두 매도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실제 최 부총리는 해당 채권을 팔았다.
1년도 채 되지 않아 미국채를 사들이면서 최 부총리 스스로 야당에 공격의 빌미를 준 셈이다.
여기에 최 부총리에 대한 탄핵 추진과 맞물리면서 야당의 공세가 더욱 거세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일각에선 최 부총리의 한국 국채 투자액이 더 크다는 점을 거론하며 미 국채에만 투자하는 것처럼 몰아가선 안 된다는 의견도 나온다.
최 부총리의 재산신고 내역을 보면 본인 명의로 2억4천만원, 배우자 명의로 2억원 규모의 국고채를 보유하고 있다.
기재부의 한 관계자는 "최 부총리의 국고채 투자액이 미 국채 투자액의 두 배가 넘는다"며 "이런 점을 균형 있게 볼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일각에선 최 부총리의 미 국채 매수가 문제가 된다면 국민연금과 한국투자공사(KIC) 등 공적 투자기관이 해외 주식·채권에 투자해 수익률을 끌어올리는 것도 비판의 대상이 되느냐는 의문도 제기한다.
wchoi@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주의사항
※본 리포트는 한국무역보험공사가 외부기관으로부터 획득한 자료를 인용한 것입니다.
※참고자료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