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소비자물가 2.1%↑·석달째 2%대…근원물가 1.9%↑(종합)
  • 일시 : 2025-04-02 08:43:59
  • 3월 소비자물가 2.1%↑·석달째 2%대…근원물가 1.9%↑(종합)

    수산물 4.9%↑·가공식품 3.6%↑…"고환율, 시차 두고 물가 상승에 영향"



    https://tv.naver.com/h/73261630

    [연합뉴스 자료사진]




    (세종=연합인포맥스) 최욱 박준형 기자 = 소비자물가가 석 달 연속 2%대 오름세를 이어갔다.

    전반적으로 물가 안정세가 지속됐지만 수산물과 가공식품 등 일부 품목은 여전히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통계청이 2일 발표한 '2025년 3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1년 전 같은 달보다 2.1% 상승했다.

    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9월부터 1%대를 유지하다가 올해 들어 석 달째 2%대를 기록했다. 전월(2.0%)과 비교하면 0.1%포인트(p) 높아졌다.

    이는 시장 예상치를 소폭 웃도는 결과다.

    연합인포맥스가 최근 국내외 증권사 9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들은 3월 물가가 평균 2.03%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지수의 상승 폭은 1.9%였다. 전월보다 0.1%p 높아진 수치다.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 상승률도 2.1%로 전월보다 0.2%p 높아졌다.

    생활물가지수는 2.4% 올라 전월보다 0.2%p 낮은 상승률을 보였다.

    신선식품지수는 1.3% 떨어지면서 2개월째 하락세를 지속했다.

    신선채소와 신선어개는 각각 1.8%, 3.6% 상승했지만 신선과실은 6.1% 하락했다.

    [통계청 제공]




    품목 성질별로 보면 농축수산물은 0.9% 상승했다.

    농산물만 보면 1.1% 하락했다. 축산물과 수산물은 각각 3.1%, 4.9% 올랐다.

    이 가운데 수산물의 오름 폭은 2023년 8월(6.0%) 이후 1년 7개월 만에 가장 큰 수준이다.

    이두원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수출 수요 증가로 김의 가격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며 "수온 상승 등으로 어획량이 감소한 고등어와 오징어 물가도 올랐다"고 설명했다.

    공업제품과 전기·가스·수도는 각각 1.7%, 3.1% 상승했다.

    공업제품 중에서 석유류와 가공식품의 상승률은 각각 2.8%와 3.6%였다.

    석유류의 상승 폭은 전월보다 3.5%p 축소된 반면 가공식품은 0.7%p 확대됐다.

    특히 가공식품은 2023년 12월(4.2%) 이후 1년 3개월 만에 가장 큰 상승 폭을 기록했다.

    이 심의관은 "커피, 빵, 김치, 햄, 베이컨 등 최근 출고가 인상이 순차적으로 물가에 반영되고 있다"며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은 올해 들어 지속적으로 오르고 있다"고 말했다.

    서비스 부문은 2.3% 상승했다.

    공공서비스와 개인서비스의 상승 폭은 각각 1.4%, 3.1%로 집계됐다.

    개인서비스 가운데 외식과 외식 제외 상승률은 각각 3.0%와 3.2%였다. 외식 제외 물가의 경우 여행 관련 상품이 상승세를 주도했다.

    외식은 전월과 상승률이 같았고, 외식 제외 상승률은 한 달 전보다 0.3%p 높아졌다.

    지난달 물가 상승에는 개인서비스가 1.05%p 기여했다. 외식과 외식 제외 기여도는 각각 0.42%p, 0.62%p였다.

    석유류와 가공식품은 각각 0.11%p, 0.30%p 물가를 끌어올렸다.

    이 심의관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 정도이고 근원물가는 1%대 후반으로 나오고 있으니 어느 정도 안정적인 수준으로 볼 수 있다"며 "다만, 앞으로 석유류와 농축수산물, 가공식품 물가가 어떻게 나올지 지켜봐야 한다"고 평가했다.

    달러-원 환율 상승이 소비자물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환율 상승이 물가에 어느 정도 반영됐느냐는 숫자로 발라내기 쉽지 않다"면서도 "품목마다 시차는 있겠지만 물가 상승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고 했다.

    wchoi@yna.co.kr

    jhpark6@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주의사항
    ※본 리포트는 한국무역보험공사가 외부기관으로부터 획득한 자료를 인용한 것입니다.
    ※참고자료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