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환-오전] 美中 관세전쟁 우려 속 패닉 장세…33.90원↑
  • 일시 : 2025-04-07 11:46:36
  • [서환-오전] 美中 관세전쟁 우려 속 패닉 장세…33.90원↑



    (서울=연합인포맥스) 정선미 김지연 기자 = 달러-원 환율이 미국과 중국의 관세 전쟁이 본격화할 것이란 우려에 급등세를 나타냈다.

    7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원 환율은 오전 11시 31분 현재 전일대비 33.90원 오른 1,468.00원에 거래됐다.

    이날 달러-원 환율은 전거래일 오후 3시30분보다 27.90원 상승한 1,462.00원에 개장했다.

    개장 직후 1,461.00원에 하단을 확인한 달러-원은 1,471.50원까지 고점을 높이며 오름세를 유지했다.

    지난 4일 중국이 미국산 제품에 34%의 보복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히면서 글로벌 관세 전쟁과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달러화를 끌어올리는 모양새다.

    이날 국내증시에서는 뉴욕증시 급락과 미국 경기 침체 우려로 코스피 지수가 급락하면서 프로그램 매도호가 일시 효력 정지(사이드카)가 발동됐다.

    사이드카는 코스피200 선물 지수가 5% 이상 상승 또는 하락해 1분간 지속되는 경우 발동된다.

    코스피는 4%대 하락세를 나타냈고, 외국인 투자자들은 유가증권시장에서 1조2천억원 가까이 주식을 순매도했다.

    딜러들은 패닉 장세 형태 속에서 달러-원의 양방향 변동성이 커졌다고 분석했다.

    한편 정부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으로 치러지는 대통령 선거일을 6월 3일로 잠정 결정했다. 앞서 윤 전 대통령은 지난 4일 헌법재판소의 판결로 파면됐다.

    달러 인덱스는 102.9선에서 등락하며 강보합권을 나타냈다.

    역외 달러-위안(CNH) 환율은 7.3215위안으로 상승했다.

    통화선물시장에서 외국인 투자자들은 달러 선물을 4만5천691계약 순매수했다.

    엔-원 재정환율은 오전 한때 100엔당 1,010.53원까지 얼랐다. 이는 2022년 3월 22일 이후 거의 3년 만의 최고치다.



    ◇오후 전망

    외환딜러들은 달러-원 환율이 관세전쟁에 대한 우려를 소화하면서 패닉 장세가 나타났다고 관측했다. 오후장에서는 1,460원대를 중심으로 등락하되 높은 변동성 속에서 양방향 움직임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 시중은행 외환딜러는 "우선 변동성이 좀 심한 것 같다"면서 "지난주에는 1,430원대까지 내려갔다가 지금 또 1,470원대에 고점을 찍고 내려온 상황인데 간밤에도 급격한 변화가 잦아서 장기적인 예측이 어려운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오후장에서는 1,460원대에서 등락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변동성이 높아 정확한 예측은 어려운 장 같다"고 덧붙였다.

    한 증권사 딜러는 "중국 보복관세로 인한 관세전쟁 우려 등 주말에 나온 뉴스를 달러-원 환율이 소화하면서 상승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변동성이 큰 상황이라서 환율 상·하단을 예상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패닉 장세인 것 같다"면서 "양방향 움직임을 주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장중 동향

    달러-원 환율은 뉴욕 역외차액결제선물환(NDF) 달러-원 1개월물이 오르면서 27.90원 상승 개장했다.

    장중 고점은 1,471.50원, 저점은 1,461.00원이었다. 장중 변동폭은 10.50원이었다.

    연합인포맥스 예상 거래량(화면번호 2139)에 따르면 현재 시각 기준으로 거래량은 약 56억달러로 예상됐다.

    같은 시각 외국인 투자자들이 유가증권시장에서 1조1천520억원어치 주식을 순매도했다. 코스닥에서는 1천599억원어치 주식을 순매도했다.

    달러인덱스는 102.977로 상승했다.

    달러-엔 환율은 뉴욕장 대비 0.504엔 내린 146.352엔에, 유로-달러 환율은 0.00029달러 오른 1.09580달러에 거래됐다.

    엔-원 재정환율은 100엔당 1,003.71원을, 위안-원 환율은 200.64원을 나타냈다.

    smjeong@yna.co.kr

    jykim2@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주의사항
    ※본 리포트는 한국무역보험공사가 외부기관으로부터 획득한 자료를 인용한 것입니다.
    ※참고자료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