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마켓 브리핑](4월10일)
*4월9일(현지시간)
-뉴욕증시 : 다우 7.87%↑ S&P500 9.52%↑ 나스닥 12.16%↑
-미 국채 10년물 금리 : 전 거래일 오후 3시 기준가보다 13.50bp 상승한 4.396%
-달러화 : 엔화에 강세, 유로화에 강세, 달러인덱스는 103.146으로 전장보다 0.180포인트(0.175%) 상승
-WTI : 전장보다 2.77달러(4.65%) 급등한 배럴당 62.35달러
*시황 요약
△뉴욕증시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90일 유예 발표에 따른 안도감 속에 사상 초유의 동반 급등세를 기록하며 폭등 마감. 나스닥지수는 2001년 이후 최대 일일 상승률을 기록했고, 다우와 S&P500지수 역시 각각 2020년과 2008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상승.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을 제외한 모든 국가에 대해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하겠다고 발표. 이는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를 완화시키며 시장의 위험선호 심리를 자극.
△S&P500지수 구성 종목 전반이 상승하는 가운데, 기술주 중심으로 강력한 반등세. 애플 15.33%↑, 엔비디아 18.72%↑, 마이크로소프트 10.13%↑, 테슬라 22.69%↑, 아마존 11.45%↑, 메타 13.67%↑ 등 일제히 폭등.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19% 가까이 상승하며 반도체 섹터 전반에 강세.
△미국 국채 금리는 혼조세 속 10년물 금리가 상승 전환. 10년물 입찰에서 강한 수요가 확인되며 장기물은 안도 흐름, 반면 2년물은 트럼프 발표 이후 통화정책 기대가 후퇴하며 급등.
△달러화는 경기침체 우려 완화와 국채금리 상승 등에 힘입어 반등. 달러인덱스는 장중 101선까지 하락했다가 트럼프 관세 유예 발표 이후 103선 회복. 호주달러와 멕시코페소 등 고위험통화 급등.
△국제유가는 트럼프의 관세 유예 조치 발표에 급반등. 장 초반 급락하던 유가는 발표 이후 반전되며 배럴당 62달러대로 복귀. 중국과의 무역긴장은 지속되나 글로벌 수요 붕괴 우려는 일부 완화.
*데일리 포커스
-트럼프 "보복 않는 국가에 관세 90일 유예…중국은 125%로 인상"(상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9일(현지시간) 보복관세를 시행하지 않은 국가를 대상으로 관세를 90일 유예해주겠다고 밝힘.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소셜 미디어인 트루스 소셜에 "75개국 이상의 국가가 무역, 무역장벽, 관세, 환율 조작, 비금전적 관세와 관련돼 논의하고 있는 것에 대한 해결책을 협상하기 위해 상무부, 재무부, 무역대표부(USTR)에 요청했다"고.
-'美자산 매도'에 놀란 트럼프, 결국 '90일 관세 유예 카드' 꺼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대부분의 국가를 상대로 '상호관계 유예' 조치를 단행. 주식시장은 물론 안전자산으로 여겨지는 미국 국채와 달러화를 두고 '투매' 바람이 일자 한 발짝 물러선 것으로 보임. 한편으로는 중국을 더욱 압박하기 위한 조치로 고려한 것으로 분석됨.
트럼프 대통령은 9일(현지시간) 자신의 소셜 미디어인 트루스 소셜에 75개 이상의 국가가 어떠한 방식으로 보복 조처를 하지 않았다는 사실에 근거해 "90일간 관세 유예와 이 기간에는 상호관세율을 10%로 대폭 인하하는 조치를 승인했다"고 밝힘.
-트럼프, 대중 추가 관세 관련 "더 해야 한다고 생각 안해"(상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9일(현지시간) 중국에 대한 관세를 더 높일 수 있는지에 대해 "나는 그것을 상상할 수 없다"고 밝힘.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후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나는 우리가 그것을 더 해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면서 이같이 말함.
*아시아 시간대 주요 지표
▲1030 중국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
▲1030 중국 3월 생산자물가지수(PPI)
▲1235 일본 5년물 JGB 입찰
▲1515 유로존 패트릭 몬태그너 유럽중앙은행(ECB) 감독위원회 이사 연설
*미국 지표/기업 실적
▲2130 미국 4월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2130 미국 3월 소비자물가지수
▲2130 캐나다 2월 건축 허가건수
▲2200 영국 사라 브리든 영국중앙은행(BoE) 이사 연설
▲2230 미국 로리 로건 댈러스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 연설
▲2300 미국 미셸 보우먼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이사 연설
▲0100(11일) 미국 오스틴 굴스비 시카고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 연설
▲0100 미국 세계곡물수급전망(WASDE) 보고서
▲0130 미국 패트릭 하커 필라델피아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 연설
▲0200 미국 30년물 채권입찰
▲0300 미국 3월 연방재정수지
ywkwon@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주의사항
※본 리포트는 한국무역보험공사가 외부기관으로부터 획득한 자료를 인용한 것입니다.
※참고자료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