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마켓 브리핑](4월11일)
*4월10일(현지시간)
-뉴욕증시 : 다우 2.50%↓ S&P500 3.46%↓ 나스닥 4.31%↓
-미 국채 10년물 금리 : 전 거래일 오후 3시 기준가보다 0.20bp 하락한 4.3940%
-달러화 : 엔화에 약세, 유로화에 약세, 달러인덱스는 100.942로 전장보다 2.204포인트(2.137%) 급락
-WTI : 전장보다 2.28달러(3.66%) 급락한 배럴당 60.07달러
*시황 요약
△뉴욕증시는 상호관세 90일 유예 효과가 하루 만에 사라지며 급락 마감. 트럼프 행정부의 대중(對中) 관세가 145%에 달한다는 백악관 발표가 투자심리를 급랭시켜 증시에 강한 하방압력 작용.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월 대비 0.1% 하락하며 시장 예상치(0.1% 상승)를 밑돌았음에도, 관세발 경기침체 우려로 주가 상승 동력 상실. 기술주 중심 나스닥 4%대, S&P500과 다우도 각각 3% 안팎의 낙폭 기록.
애플·엔비디아·테슬라 등 대형 기술주 '매그니피센트7'이 모두 급락하며 시총 붕괴. 반면 월마트, 유나이티드헬스, 코카콜라 등 필수소비재주는 상대적 강세.
△미국 국채 가격은 장단기물 간 엇갈린 흐름을 보임. 장기물은 30년물 입찰 호조에도 불구하고 약세 전환하며 금리가 상승했고, 단기물은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가 강화되며 급등. 결과적으로 장단기 금리차는 확대.
△달러화는 주요 통화 대비 급락. 달러인덱스는 2023년 10월 초 이후 최저 수준으로 밀리며 100선 초반까지 하락. 스위스프랑은 달러 대비 10년래 최고 수준, 유로·엔도 강세.
△뉴욕유가는 3% 넘게 급락하며 다시 60달러선 턱걸이. 트럼프 행정부의 대중 고율 관세가 중국 경기 위축 우려를 자극, 글로벌 원유 수요 둔화 가능성에 투자자 투매 확산.
*데일리 포커스
-백악관 "대중 관세 최소 145%"…소액소포도 '90→120%' 상향
백악관은 10일(현지시간) 메모를 통해 중국에 대한 관세가 최소 145%라고 밝힘. 기존 팬타닐 관련 관세 20%에 이날부터 발효한 상호관세 125%를 더한 값. 트럼프 2기 행정부 이전 조처된 관세까지 포함하면 145%가 넘어가는 셈. 미국은 또 오는 5월 2일부터 중국과 홍콩에서 오는 800달러 이하의 소액 소포에 대해서는 120%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힘.
-트럼프 "中과 합의에 이르면 좋을 것…시진핑은 내 친구"(종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고조되는 무역전쟁을 마무리 짓기 위해 중국과 합의에 이르기를 바란다고 밝힘. 트럼프는 10일(현지시간) 언론에 공개된 내각 회의에서 "중국과 무역 협상을 합의하면 좋을 것"이라며 "그것은 미국과 중국 양측에 좋은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트럼프는 "나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매우 존중한다"며 "그는 오랜 기간 진정한 의미에서 내 친구였다"고.
-옐런 전 美재무 "국채 매도, 트럼프 '관세 유예' 영향 미쳤을 것"
재닛 옐런 전 미국 재무부 장관은 10일(현지시간) 최근 미국 국채 투매 관련 "내가 이해하기로는 이 문제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를 유예하도록 하는 데 영향을 미쳤을 것, 그리고 명백하게 우려해야 할 사안"이라고 평가. 옐런 전 장관은 이날 CNN 인터내셔널과 인터뷰에서 투자자들이 안전자산으로서 미국 국채의 위상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며 이렇게 말함. 옐런 전 장관은 "미국 국채를 보유하고 있는 고(高) 레버리지 헤지펀드가 보유 채권을 매도하기 시작했다"면서 "미국 국채가 대량으로 매도되면 금융 불안정을 야기할 수 있다"고 우려.
-美 3월 CPI 전달 대비 '예상 밖' 0.1% 하락…5년 만에 최저(종합)
올해 3월 미국의 소비자물가가 '깜짝' 하락하며 약 5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 10일(현지시간)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계절 조정 기준으로 전달 대비 0.1% 하락. 지난 2020년 5월(-0.1%) 이후 약 5년 만에 최저치. 연합인포맥스가 집계한 시장 전망치 0.1% 상승을 밑돔.
*아시아 시간대 주요 지표
▲1500 영국 2월 상품 무역수지
▲1500 영국 2월 국내총생산(GDP)
▲1500 독일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확정)
▲1550 중국 3월 차량 판매
▲1845 유로존 크리스틴 라가르드 유럽중앙은행(ECB) 총재 연설
*미국 지표/기업 실적
▲2130 미국 3월 생산자물가지수(PPI)
▲2300 미국 알베르토 무살렘 미국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 연설
▲2300 미국 4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0000(12일) 미국 존 윌리엄스 뉴욕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 연설
ywkwon@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주의사항
※본 리포트는 한국무역보험공사가 외부기관으로부터 획득한 자료를 인용한 것입니다.
※참고자료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