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반도체ㆍ전자제품에 20% 펜타닐 관세…전체 공급망 보는 중"
(뉴욕=연합인포맥스) 최진우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3일(현지시간) "금요일(11일)에 관세 '면제'가 발표된 적은 없다"면서 "이 제품들은 기존 20% 펜타닐 관세를 적용받으며, 다른 관세 범주(bucket)로 옮겨지고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소셜 미디어인 트루스 소셜에 "불공정한 무역 수지와 비화폐 관세 장벽에 대한 책임에서 누구도 면제될 수 없다. 특히 중국은 더욱 그러하다"면서 이렇게 적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다가오는 국가 안보 관세 조사에서 반도체와 전체 전자 제품의 공급망을 살펴볼 것"이라면서 "다른 나라들, 특히 미국 국민을 하대하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할 중국과 같은 적대적인 무역 국가들의 인질로 잡혀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앞서 세관국경보호국(CBP)은 지난 11일 밤늦게 스마트폰과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 칩, 반도체 제조 장비, 노트북 컴퓨터, 디스플레이, 태양광 전지 등에 대해 상호관세와 기본관세를 면제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이들 제품이 중국산이라면 20%의 펜타닐 관세가 부과되고, 이어 전체 공급망을 조사해 관세도 따로 매긴다는 점을 천명한 것이다. 결과적으로 시기의 문제일 뿐 관세 면제는 없다는 의미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도 이날 인터뷰에서 스마트폰과 메모리 칩 등 전자제품에 상호관세를 면제해준 품목과 관련, "한두 달 내(a month or two)"로 관세가 부과될 것이라고 밝혔다.
러트닉은 "모든 제품은 반도체에 속하며, (면제한) 해당 제품의 국내 생산(get reshored)을 위해 특별한 유형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우리는 반도체, 칩, 평판 디스플레이를 모두 미국에서 생산해야 한다"면서 "우리를 위해 운용하는 모든 것을 동남아시아에 의존할 수 없다"고 말했다.
러트닉은 "국가들이 협상으로 없앨 수 있는 게(not available to be negotiated away) 아니라는 점을 분명하게 하고 싶다"며 "국가 안보에 필요한 것들이고 미국에서 만들어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jwchoi@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주의사항
※본 리포트는 한국무역보험공사가 외부기관으로부터 획득한 자료를 인용한 것입니다.
※참고자료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