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달러화 하락…트럼프 '핵심광물' 조사에 DXY 다시 '99대'로
  • 일시 : 2025-04-16 21:56:35
  • 미 달러화 하락…트럼프 '핵심광물' 조사에 DXY 다시 '99대'로

    기대 웃돈 美소매판매 상방압력 주기도



    출처: 연합인포맥스


    (뉴욕=연합인포맥스) 최진우 특파원 = 미국 달러화 가치가 하락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무역확장법 232조를 활용, 가공된 핵심 광물 등에 대한 조사에 나서면서 무역 불확실성이 또다시 고조됐기 때문이다. 다만, 기대를 웃돈 3월 소매 판매에 달러는 하락분을 일부 회복하기도 했다.

    연합인포맥스(화면번호 6411)에 따르면 16일 오전 8시 40분께(이하 미 동부시간) 뉴욕 외환시장에서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 가치를 반영하는 달러인덱스(DXY)는 99.654로 전장 마감 가격(100.163)보다 0.509포인트(0.508%) 급락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가공된 핵심 광물 및 파생 상품에 대한 무역확장법 232조 조사를 통한 국가 안보 및 경제적 회복력 보장'에 대한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무역확장법 232조는 외국산 수입 제품이 미국의 국가 안보에 위협을 끼칠 경우 긴급하게 조치를 할 수 있는 권한을 미국 대통령에게 부여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법을 활용해 철강과 자동차에 25%의 관세를 부과한 바 있다. 이번 조치가 핵심 광물에 대한 관세 부과를 시사하는 것이다.

    엔비디아에 대한 제재에서도 미·중 갈등이 여실히 드러났다는 평가다.

    엔비디아는 전날 트럼프 행정부가 H20 칩의 중국 수출을 제한했다고 발표했다. 엔비디아는 관련 재고를 비용 부담으로 반영하면서 올해 1분기 55억달러 규모의 손실을 반영할 예정이다.

    미즈호은행의 싱가포르 경제전략 책임자인 비슈누 바라탄은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굉장히 변덕스럽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전에 제공한 양보를 철회했기 때문"이라며 "또 표면적으로 다소 평온해 보이지만 기저에서 미·중 내부 분위기가 상당히 안 좋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뉴욕장 진입해서 나온 미국 3월 소매 판매는 달러에 상방 압력을 줬다.

    미 상무부에 따르면 3월 소매 판매는 7천439억달러로 전달보다 1.4% 증가했다. 연합인포맥스가 집계한 시장 전망치(+1.3%)를 소폭 웃돈다. 관세 부과를 앞두고 자동차 판매가 급증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

    달러-엔 환율은 142.654엔으로 전장 대비 0.537엔(0.375%) 하락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일본과의 무역 협상에 직접 참여할 예정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 미디어인 트루스 소셜에 "나는 재무부 장관, 상무부 장관과 함께 회의에 참석할 예정"이라며 일본과 미국 모두에게 좋은(위대한) 결과가 나오길 바란다"고 기대했다.

    역외 달러-위안(CNH) 환율은 7.3122위안으로 전장보다 0.0175위안(0.239%) 떨어졌다.

    중국은 트럼프 행정부와 무역 협상에 나설 수 있다는 점을 시사했다. 한 외신은 중국을 존중하는 태도와 협상을 담당할 담당자 지명을 요구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역외 달러-위안 환율은 런던장에서 7.2955위안까지 내려가기도 했다.

    유로-달러 환율은 1.13504달러로 전장 대비 0.00679달러(0.602%) 급등했다.

    유로존의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망치에 부합했다.

    유럽연합(EU) 통계 당국인 유로스타트에 따르면 3월 유로존 CPI 확정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2% 올랐다. 연합인포맥스가 집계한 시장 전망치, 예비치인 2.2%에 부합한다. 직전 달(2.3%) 대비해서는 0.1%포인트 하락했다.

    파운드-달러 환율은 1.32595달러로 전장 대비 0.00333달러(0.252%) 상승했다.

    영국의 3월 CPI는 1년 전 같은 달보다 2.6% 상승했다. 전망치인 2.7%를 밑돌았다.

    jwchoi@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주의사항
    ※본 리포트는 한국무역보험공사가 외부기관으로부터 획득한 자료를 인용한 것입니다.
    ※참고자료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