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통방문 달라진 대목은…"美 관세정책發 전망 불확실성 크다"
"기준금리의 추가 인하 시기 및 속도 결정" 문구 유지
(서울=연합인포맥스) 정선미 기자 =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17일 기준금리를 2.75%로 동결하기로 결정하면서, '미국의 관세정책 변화, 정부 부양책 추진 등에 따른 전망경로의 불확실성'을 이유로 밝혔다.
금통위는 이날 기준금리 동결의 배경을 이같이 설명하고 "성장의 하방리스크 완화를 위한 금리 인하 기조를 이어나가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지난 2월 통화정책방향 의결문에서는 "성장률이 크게 낮아질 것으로 전망된다"면서 "금리를 추가 인하하여 경기 하방압력을 완화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한 바 있다.
이번에는 "글로벌 통상여건 악화로 성장의 하방위험이 확대되었다"면서도 전망 경로의 불확실성이 큰 점과 높은 환율 변동성, 가계 대출 흐름을 살필 필요를 지적했다.
세계경제에 대한 진단 부분에서 금통위는 '글로벌 무역갈등' 심화를 언급했다.
이전 통방문에서 미국 신정부 경제정책에 대한 우려가 완화된 점과 러시아ㆍ우크라이나 종전 가능성을 언급한 것과 달리 "미국 관세정책의 불확실성이 이어지면서 주요 가격변수의 변동성이 확대되었다"고 평가했다.
국내경제 상황에 대해서는 비상계엄에 대한 언급은 빠졌으나 "정치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점을 언급했고 "통상여건 악화 등으로 내수와 수출이 모두 둔화하면서 성장세가 예상보다 약화"하였다고 지적했다.
특히 2월에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에 1.9%에서 1.5%로 내렸으나 이번 통방문에서는 "2월 전망치(1.5%)를 하회할 것"이라는 점을 확실히했다.
아울러 "향후 무역협상 전개양상, 추경의 시기 및 규모"에 따른 성장 경로의 불확실성이 너무 높다"고 부연했다.
국내 물가에 대해서는 안정적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는 평가를 재확인했다. 올해 소비자물가 및 근원 물가 상승률을 1.9%, 1.8%로 유지했다.
금융ㆍ외환시장에 대한 평가에서도 "주요 가격 변수의 변동성이 크게 확대"됐다는 부분으로 문구가 대체됐다.
향후 통화정책 방향과 관련해서는 2월에는 "기준금리의 추가 인하 시기 및 속도 등을 결정해나갈 것"이라고 언급한 것에서 "향후 통화정책은 성장의 하방 리스크 완화를 위한 금리 인하 기조를 이어나가되"라는 언급을 추가했다.
smjeong@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주의사항
※본 리포트는 한국무역보험공사가 외부기관으로부터 획득한 자료를 인용한 것입니다.
※참고자료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