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환시] 달러 이틀째↑…대중 관세 인하 기대에 DXY '100'에 성큼
  • 일시 : 2025-04-24 05:33:27
  • [뉴욕환시] 달러 이틀째↑…대중 관세 인하 기대에 DXY '100'에 성큼



    출처: 연합인포맥스


    (뉴욕=연합인포맥스) 최진우 특파원 = 미국 달러화 가치가 2거래일 연속 큰 폭으로 상승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대중국 관세 인하를 검토한다는 보도에 미국의 제조업 물가 상승압력이 강해졌다는 소식이 겹치면서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 가치를 반영하는 달러인덱스(DXY)는 99대 후반까지 올라섰다.

    유로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의 종전 협상이 교착 상태를 보이면서 하락했다. 최근 안전통화로 부각된 엔과 스위스프랑은 달러 대비 1% 이상의 약세를 나타냈다.

    연합인포맥스(화면번호 6411)에 따르면 23일 오후 4시 현재(이하 미 동부시각) 뉴욕 외환시장에서 달러-엔 환율은 143.393엔으로, 전장 뉴욕장 마감가 141.613엔보다 1.780엔(1.26%) 급등했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은 이날 "우리는 일본이 주요 7개국(G-7) 합의를 준수할 것으로 예상한다"면서 "환율 목표는 없다"고 말했다.

    유로-달러 환율은 1.13276달러로 전장 대비 0.00949달러(0.831%) 급락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크림반도를 러시아 영토로 인정하는 미국의 협상안을 비판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겨냥, "평화 협상에 매우 해롭다"고 비판했다. 백악관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은 젤렌스키에 불만이며, 인내심도 바닥이 났다"고 전했다.

    J.D. 밴스 미국 부통령은 "미국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에 매우 분명한 제안을 했다"며 "이제 그들이 받아들일 때이며 그게 아니라면 미국은 손을 뗄 것"이라며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를 압박했다.

    달러인덱스는 99.818로 전장 대비 0.838포인트(0.847%) 급등했다.

    달러인덱스는 아시아와 런던장에서 그간 상승분을 대부분 반납했고, 뉴욕장에 진입해서는 주로 99대 초·중반대에서 움직였다.

    달러에 상방 압력을 준 것은 트럼프 대통령이 대중국 관세를 50~65% 수준으로 인하를 검토한다는 소식이었다. 미국이 현재 중국을 상대로 145%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절반 이하로 줄여준다는 셈이다.

    베선트 장관도 이날 "제가 여러 번 말씀했듯이 양측 모두 현재 관세 수준이 지속 가능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면서 "따라서 양측이 서로 관세를 인하하더라도 놀랍지 않다"고 강조했다. 베선트 장관은 중국과 "빅 딜 기회가 있다"고 표현하기도 했다.

    다만,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만 내리는 일방적인 관세 인하는 없을 것이라고 못 박았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일방적으로 인하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달러인덱스는 이러한 발언에 따른 무역 긴장 완화를 반영해 99.904까지 밀려 올라갔다.

    모넥스USA의 트레이딩 이사인 헬렌 기븐은 "두 나라 간의 논의 가능성이 생겨 매우 안도감을 느끼고 있다"면서 "우리는 그것이 큰 방식으로 전개되는 것을 보고 있다"고 평가했다.

    베이드의 투자 전략 분석가인 로스 메이필드는 "시장은 단기적으로 무역 긴장 완화 가능성이 얼마나 현실적인지 파악하기 위해 고심하고 있다"고 전했다.

    제조업 인플레이션 압력 신호도 달러에 강세 압력을 준 것으로 평가된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글로벌에 따르면 4월 합성 구매관리자지수(PMI) 예비치의 가격지수는 55.2로 전달에 비해 1.7포인트 상승했다. 13개월 만의 최고치다. 특히, 제조업 가격지수는 2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ㆍFed)는 이날 공개된 4월 베이지북에서 지난 2월 하순부터 이달 중순 사이에 전반적 경제활동이 "거의 변하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달러-스위스프랑 환율은 0.8300스위스프랑으로 전장 대비 0.0115스위스프랑(1.405%) 급등했다. 역외 달러-위안(CNH) 환율은 7.2868위안으로 0.0242위안(0.331%) 하락했다.

    jwchoi@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주의사항
    ※본 리포트는 한국무역보험공사가 외부기관으로부터 획득한 자료를 인용한 것입니다.
    ※참고자료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