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마켓 브리핑](17일)
*7월16일(현지시간)
-뉴욕증시 : 다우 0.53%↑ S&P500 0.32%↑ 나스닥 0.25%↑
-미 국채 10년물 금리 : 전 거래일 오후 3시 기준가보다 3.40bp 내린 4.4550%
-달러화 : 엔화 및 유로화에 약세, 달러인덱스는 98.314로 전장보다 0.323포인트(0.327%) 하락
-WTI : 전장 대비 0.14달러(0.21%) 하락한 배럴당 66.38달러
*시황 요약
△뉴욕 증시에서 3대 지수는 강세로 마감. 미국 6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양호한 가운데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해임설이 촉발한 변동성 반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파월을 조만간 해임할 수 있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증시가 출렁였으나 트럼프가 이를 부인하자 다시 강세로 전환.
6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계절 조정 기준으로 전월 대비 보합. 변동성이 큰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PPI도 전월대비 보합 나타내. 이는 모두 시장 예상치 0.2% 상승을 밑도는 수준.
업종별로는 부동산과 의료건강이 1% 상승.
모건스탠리 1.27% 하락. 골드만삭스 0.9% 상승. 뱅크오브아메리카 0.26% 하락.
△미국 국채가격은 단기물의 상대적 강세에 상승. 수익률곡선은 가팔라지며 불 스티프닝.
트럼프가 파월을 조만간 해임할 수 있다는 관측에 장중 수익률곡선 앞부분과 뒷부분의 반응이 극명하게 갈려. 단기물은 금리 인하 베팅에, 장기물은 연준 독립성 침해 우려에 주목.
△미국 달러화 가치는 하락. '파월 해임설'에 달러는 장중 급락세를 보이다가 트럼프가 해임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밝히자 낙폭 축소.
△뉴욕 유가는 하락. 중국 석유 수요 회복에도 미국 내 휘발유 재고 증가 및 무역 갈등에 대한 우려 반영.
*데일리포커스
-트럼프 "파월, 사기만 범하지 않으면 해임 가능성 매우 낮아"(상보)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65105]
-美 6월 생산자물가 전월비 보합…전망치 하회·서비스 하락(종합)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65094]
-연준 베이지북 "경제활동 약간 증가…물가 압박 계속 강할듯"(상보)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65113]
*아시아 시간대 주요 지표
▲0850 일본 6월 무역수지
▲1030 호주 5월 실업률
▲1500 영국 5월 실업률
▲1800 유로존 CPI 확정치
*미국 지표/기업 실적
▲2130 미국 6월 소매판매
▲2130 미국 7월 필라델피아 연준 제조업지수
▲2300 미국 7월 미국주택건설업협회(NAHB) 주택 시장지수(HMI)
▲2300 미국 아드리아나 쿠글러 연준 이사 연설
▲0130(18일) 미국 리사 쿡 연준 이사 연설
▲0200 미국 애틀랜타 연은 'GDPnow' (2분기)
▲0500 미국 5월 장기 TIC 순 유출입
▲넷플릭스, GE 에어로스페이스 실적 발표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주의사항
※본 리포트는 한국무역보험공사가 외부기관으로부터 획득한 자료를 인용한 것입니다.
※참고자료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