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연준 의장 후보' 케빈 워시 "대통령의 연준 공개 압박은 정당"
"연준은 재무부와 정책 공조해야" 발언도
(뉴욕=연합인포맥스) 진정호 특파원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정책 운용 방식에 대대적인 변화를 줘야 하며 재무부와 정책을 공조해야 한다고 케빈 워시 전 연준 이사가 말했다. 또 이를 위해선 대통령이 연준에 공개적으로 압박을 가하는 것도 정당하다고 덧붙였다.
워시는 유력한 차기 연준 의장 후보 중 한 명으로 거론되는 인사다. 이같은 발언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코드를 맞추겠다는 의사로 풀이된다.
워시는 17일(현지시간) 미국 CNBC와의 인터뷰에서 "연준의 정책 운용에 체제 전환(regime change)이 필요하다"며 "연준의 신뢰 부족은 현직자들에게 있다"고 주장했다.
워시는 "금리 인하를 주저한 것은 연준에 큰 결점으로 남았다"며 "인플레이션을 잘못 판단했던 과거의 실수가 현재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통령이 연준에 공개적으로 압박을 가하는 것은 정당하다"며 "정책 운용 방식에 있어 체제 전환이 필요하다"고 거듭 촉구했다.
트럼프는 집권 이후 꾸준히 기준금리 인하를 공개적으로 요구해왔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그의 요구에도 기준금리를 동결하자 파월에 자진 사임을 요구하는 한편 그를 해임할 수 있다는 압박도 직간접적으로 가하는 상황이다. 파월의 의장으로서 임기는 2026년 5월까지다.
워시는 트럼프가 파월을 해임해야 한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연준의 체제 전환은 때가 되면 이뤄질 것"이라고 대답을 회피했다.
워시는 연준도 정부의 차입 비용을 낮추는 데 일조해야 하며 그렇기 때문에 재무부와 공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1951년에도 비슷한 상황에서 새로운 재무부-연준 협약(Treasury-Fed Accord)이 만들어졌다"며 "당시에도 국가 부채가 쌓였고 연준과 재무부가 따로 움직이면서 충돌했는데 지금이 바로 그와 유사한 상태"라고 말했다.
워시는 "새로운 협약이 필요하다"며 "연준 의장과 재무장관이 연준의 대차대조표 크기에 대한 목표를 시장에 명확히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 연준은 만기 도래한 채권을 재투자하지 않고 보유 자산을 축소하는 양적 긴축(QT)을 시행 중이다. 워시는 이같은 방향성에는 동의하지만 재무부와 협조해 차입 비용을 낮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연준은 지금 균형을 잘못 맞추고 있다"며 "금리 인하는 그 균형을 다시 맞추기 위한 출발점"이라고 말했다.
jhjin@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주의사항
※본 리포트는 한국무역보험공사가 외부기관으로부터 획득한 자료를 인용한 것입니다.
※참고자료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