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YMI] 美 재무부·연준 '비둘기 공조' 되풀이될까…바이백 주목
30일 오전 분기 국채 발행 계획 발표 후 오후에는 FOMC 결정
재무부, "바이백 강화" 검토해 와…한도 증액 가능성 거론
(서울=연합인포맥스) 김성진 기자 =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ㆍFed)가 통화정책 결정을 내리는 30일(현지시간)은 미 국채시장의 수급 측면에서도 중요한 재료가 나오는 날이다.
미 재무부의 분기 국채발행 계획(Quarterly Refunding) 공개가 그날 오전 8시 30분 예정돼 있고, 연준의 통화정책 결정 기구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발표가 오후 2시에 그 뒤를 잇는다.
두 이벤트가 한날에 겹치는 것은 자주 있지는 않은데, 재무부와 연준이 시장에 같은 방향의 영향을 줄 수 있는 발표를 내놓는다면 정부와 중앙은행이 '공조'에 나서는 모양새가 만들어질 수 있다.
지난 2023년 11월 1일은 재무부와 연준이 손을 잡고 움직였다고 해석할 수 있는 대표적인 날 중 하나다. 당시에도 분기 국채발행 계획 및 FOMC 결정 발표가 같은 날 이뤄졌는데, 글로벌 채권시장의 벤치마크 역할을 하는 미 국채 10년물 수익률은 그날 하루에만 거의 20bp 추락했다.
재무부가 장기물 국채 발행을 예상보다 덜 늘린 가운데 연준이 비둘기파적인 뉘앙스를 전달한 덕분에 10년물 수익률은 시장이 주시하던 5% 레벨에서 확연하게 멀어지는 계기를 만들 수 있었다.
이번에 발표되는 분기 국채발행 계획에서 만기 2년 이상의 쿠폰채(이표채) 입찰 규모는 종전대로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재무부는 석 달 전 발표에서 "최소한 다음 몇 분기 동안에는(for at least the next several quarters)"이라는 가이던스를 그대로 둠으로써 이미 입찰 규모에 변동이 없을 것이라고 예고한 바 있다.
채권시장에 비둘기파적인 '서프라이즈'를 선사할 수 있는 대목은 바이백 프로그램의 변경에서 나올 가능성이 제기된다.
재무부는 바이백의 강화를 검토하겠다고 이전 발표에서 밝힌 바 있고, 프라이머리딜러(PD)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최근 설문에도 같은 취지의 질문을 담은 바 있다.(지난 12일 송고된 '美 재무부, PD 분기 설문서 "재정증권 얼마나 늘려도 되나" 질문' 기사 참고)
라이트슨 ICAP의 루 크랜들 이코노미스트는 20~30년 바이백 입찰에서 "엄청난 초과 응찰이 이뤄져 왔다"면서 재무부가 이 구간의 바이백 한도를 증액할 것으로 점쳤다.
바클레이즈는 20~30년 외 다른 구간뿐 아니라 물가연동국채(TIPS)의 바이백 한도도 확대될 것으로 예상했다.
현재 재무부는 '유동성 지원' 및 '현금 관리' 목적으로 바이백을 실시하고 있다. 바이백을 한다고 해서 미 국채 잔액 자체가 줄어드는 것은 아니지만, 유동성이 부족한 경과물을 재무부가 가져가면 국채금리 하락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이번 FOMC는 금리 동결이 기정사실이나 마찬가지지만, 시장 영향력이 큰 크리스토퍼 월러 이사는 금리 인하를 주장하며 반대표를 던질 것으로 거의 확실시된다. 월러 이사와 함께 트럼프 1기 행정부 때 임명된 미셸 보먼 금융감독 부의장까지 합세하면 7명의 이사 중 2명이 제롬 파월 의장에게 맞서는 모양새가 만들어진다.
보먼 부의장은 6월 FOMC 직후인 지난달 23일 연설에서 이달 금리 인하 가능성을 제기한 바 있지만, 월러 이사만큼 강한 목소리는 아니었다. 그는 이후로는 통화정책에 대한 발언을 하지 않았다.
sjkim@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주의사항
※본 리포트는 한국무역보험공사가 외부기관으로부터 획득한 자료를 인용한 것입니다.
※참고자료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