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8월 및 중장기 달러-원 전망-①
◇김민수 IBK기업은행 차장
미국의 양호한 고용, 관세 부담에 따른 물가 부담이 한국과 미국 간 금리차가 유지되면서 달러 강세를 지지할 것이다. 한국의 경제 회복 모멘텀, 제도 개선에 따른 한국 증시 수급 개선 등이 원화 강세 요인이지만 점진적인 방향으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한다. 8월 초 한-미 관세 협상이 무난하게 넘어가더라도 일본·유럽의 경우 관세 협상 타결 후 해당 통화의 유의미한 강세가 보이지 않았다는 점을 감안하면 관세 협상에 따른 급격한 원화 강세는 예상하기 어렵다고 추정한다.
┌─────────┬─────────┬────────┬────────┐
│2025년 8월 전망치 │ 2025년 3분기 │ 2025년 4분기 │ 2026년 1분기 │
├─────────┼─────────┼────────┼────────┤
│ 1,360~1,410 │ 1,380 │ 1,360 │ 1,350 │
└─────────┴─────────┴────────┴────────┘
◇전용진 우리은행 과장
미국과 주요국 간 관세 협상이 타결되고, 우리나라도 관세 협상이 이뤄지면서 변동성이 큰 장세가 나타날 것으로 본다. 불확실성이 해소되면 달러-원 환율 하락 요인으로 작용하겠으나, 국민연금의 달러 매입 수요는 달러-원의 하단을 지지하는 요인이 될 것으로 관측한다.
┌─────────┬─────────┬────────┬────────┐
│2025년 8월 전망치 │ 2025년 3분기 │ 2025년 4분기 │ 2026년 1분기 │
├─────────┼─────────┼────────┼────────┤
│ 1,360~1,390 │ 1,360 │ 1,350 │ 1,340 │
└─────────┴─────────┴────────┴────────┘
◇김준연 KDB산업은행 대리
견조한 미 경제가 이어지며 관세 협상 추이 혹은 결과에 따라 상반월에 달러화 강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한다. 우선 불확실성 해소 측면보다 관세 협상 내용에 따라 글로벌 달러화가 강세 흐름을 보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기업들이 소비자 앞으로 관세 영향을 전가하는 추세는 8월 물가지표에서도 일부 확인될 수 있다고 본다. 8월에 예정돼있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는 추후 금리 인하를 시사하며 원화 약세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한다. 그러나 하반월에는 미 성장률에 초점이 맞춰지며 9월의 미국 금리 인하에 대한 가격 반영으로 서서히 달러 약세 추세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한다.
┌─────────┬─────────┬────────┬────────┐
│2025년 8월 전망치 │ 2025년 3분기 │ 2025년 4분기 │ 2026년 1분기 │
├─────────┼─────────┼────────┼────────┤
│ 1,360~1,405 │ 1,365 │ 1,355 │ 1,350 │
└─────────┴─────────┴────────┴────────┘
◇오주영 신한은행 과장
한-미 관세 협상 결과에 따라 월초 달러-원 환을도 등락할 것으로 본다. 다만 이미 협상이 타결된 다른 주요국들과 비슷한 수준에서 협상이 완료될 것으로 예상하며, 달러-원 환율도 관세 불확실성이 해소돼 하방 압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에 대한 금리 인하 요구 수위가 높아진 점도 달러화의 약세 요인이다. 하방에 무게 중심을 둔 레인지 흐름을 전망한다.
┌─────────┬─────────┬────────┬────────┐
│2025년 8월 전망치 │ 2025년 3분기 │ 2025년 4분기 │ 2026년 1분기 │
├─────────┼─────────┼────────┼────────┤
│ 1,360~1,400 │ 1,370 │ 1,340 │ 1,320 │
└─────────┴─────────┴────────┴────────┘
◇정용호 KB증권 부부장
기존 해외투자 흐름에 관세 및 관련 미국 투자 수요가 더해지면서 결제 수요가 강해질 것으로 예상한다. 국내 증시에서 코스피 시장의 상승 동력 약해지는 점도 달러-원의 하단을 지지하는 요인이 되겠다.
┌─────────┬─────────┬────────┬────────┐
│2025년 8월 전망치 │ 2025년 3분기 │ 2025년 4분기 │ 2026년 1분기 │
├─────────┼─────────┼────────┼────────┤
│ 1,370~1,420 │ 1,390 │ 1,390 │ 1,390 │
└─────────┴─────────┴────────┴────────┘
◇이현환 IM뱅크 과장
미국의 금리 인하 기대감으로 달러가 약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한국과 미국 간 관세 협상으로 인한 변동성은 확대될 것으로 전망한다.
┌─────────┬─────────┬────────┬────────┐
│2025년 8월 전망치 │ 2025년 3분기 │ 2025년 4분기 │ 2026년 1분기 │
├─────────┼─────────┼────────┼────────┤
│ 1,340~1,390 │ 1,340 │ 1,320 │ 1,350 │
└─────────┴─────────┴────────┴────────┘
(서울=연합인포맥스)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주의사항
※본 리포트는 한국무역보험공사가 외부기관으로부터 획득한 자료를 인용한 것입니다.
※참고자료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