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프리즘] 멈춰선 기재부 1급 인사…복잡한 셈법
https://tv.naver.com/h/81725891
(세종=연합인포맥스) 최욱 기자 =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취임 이후 기재부 1급 인사에 속도를 낼 것이란 예상과 달리 인사 소식이 들리지 않으면서 관가에서는 다양한 추측이 나오고 있다.
국정기획위원회가 이달 중순 정부 조직 개편안을 발표할 것으로 알려진 만큼 예산 기능 분리 등 조직 개편 방향이 확정된 이후 1급 인사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할 것이란 관측에 무게가 실린다.
다만, 기재부 산하 외청장의 경우 각 청 내부 출신이 중용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1급들이 이동할 만한 외부 자리가 많지 않다는 점은 여전히 고민거리다.
6일 관가에 따르면 최근 기재부 내부에서는 1급 인사가 당장 이뤄지기 어렵다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당초 지난달 두 차관에 이어 부총리 인선까지 마무리되면서 1급과 국장급 인사가 순차적으로 진행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지만, 현재까지는 1급 인사와 관련해 별다른 논의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재부 관계자는 "통상 1급 이상 고위직은 대통령실의 인사 검증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검증 과정에서 소문이 나는 경우가 많다"며 "최근에는 그런 소문조차 들리지 않아 의아해하는 직원들이 많다"고 귀띔했다.
1급 인사에 속도가 나지 않는 것으로 전해지자 관가 '복도통신'에서는 다양한 추측이 제기되고 있다.
가장 유력한 '썰'은 국정기획위가 정부 조직 개편안을 확정한 이후 1급 인사를 단행할 것이란 관측이다.
기존 시나리오대로 기재부를 기획예산처와 재정경제부로 분리한 뒤 금융위원회의 금융정책 기능을 재경부로 이관하면 1급 인사에 대한 구도 자체가 달라질 수 있어서다.
국정기획위는 이달 중순께 정부 조직 개편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기재부의 한 국장급 관료는 "1급 인사는 정부 조직 개편과 맞물려서 진행될 수밖에 없다"며 "현재 기재부뿐만 아니라 다른 부처도 조직 개편 이슈가 걸려 있어 고위직 인사에 손을 못 대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에는 예상보다 인사 폭이 크지 않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현재 기재부 1급 관료는 총 7명이다. 이들 중 상당수가 전임 윤석열 정부와 직간접적으로 엮여 있는 만큼 지난 6월 초 대선 직후만 하더라도 교체 폭이 클 것이란 시각이 많았다.
이처럼 '소폭 인사' 가능성이 거론되는 것은 이재명 대통령의 실용주의 인사 철학과 무관하지 않다.
이 대통령은 능력이 있다면 어느 정권의 사람이든 능력 안에서 기회를 주겠다는 소신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재부 1급들이 이동할 만한 외부 자리가 많지 않다는 점도 이런 전망이 나오는 배경으로 거론된다.
관가에서는 내부 출신인 이명구 관세청장이 임명된 이후 조달청과 통계청 수장에도 내부 출신이 기용될 것이란 소문이 파다하다.
그간 국세청장을 제외한 산하 외청장 자리는 기재부 1급들의 승진 이동 통로로 여겨져왔다.
하지만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기재부 1급이 외청장으로 영전하는 공식이 깨지면서 1급들이 갈 곳이 없다는 자조 섞인 목소리마저 나온다.
실제 기재부 직원들 사이에서는 1급들이 현실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외부 자리가 국제통화기금(IMF) 이사와 국제금융센터 원장 정도에 불과해 선택지가 적다는 얘기가 돌고 있다.
wchoi@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주의사항
※본 리포트는 한국무역보험공사가 외부기관으로부터 획득한 자료를 인용한 것입니다.
※참고자료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