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금센터 "대미 FDI, 대규모 유입 실현 어려워…글로벌 분절화↑"
(서울=연합인포맥스) 김지연 기자 = 미국에 대한 외국인직접투자(FDI)가 단기적으로는 증가할 수 있으나, 미국 정부가 기대하는 수준의 대규모 유입은 실현되기 어렵다는 분석이 나왔다.
국제금융센터의 이은재 부전문위원, 박승민 책임연구원은 21일 공개한 '대미 외국인직접투자 동향 및 전망' 보고서에서 "고율 관세를 회피하기 위해 미국에 직접 투자하는 기업이 늘어날 수 있지만, 높은 생산비용과 관세로 인한 교역량 감소가 투자 유인을 제약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특히 동맹국 기업들은 대미 투자를 우선 고려하는 반면, 중국 기업들은 동남아 지역 등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면서 글로벌 경제의 '분절화' 현상이 심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전세계 FDI가 둔화하는 가운데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증가하는 추세다.
대미 FDI는 작년 2천923억달러로 전년 대비 소폭 줄었고, 올해 1분기에는 미국의 관세정책 관련 불확실성으로 전년동기 대비 21% 감소한 528억달러로 집계됐다.
반면 전 세계 FDI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 2019년 13.9%에서 2021~2024년 평균 20.1%로 상승했다.
중국·홍콩의 대미 투자는 크게 줄어든 대신, 독일·네덜란드·스웨덴 등 유럽 주요국과 캐나다·일본 등 우방국의 대미 투자가 늘면서 글로벌 경제 '분절화'가 나타난 영향이다.
특히 트럼프 2기 행정부는 우방국가를 중심으로 관세 회피형 '그린필드'(Greenfield) FDI를 적극 유도했다.
그린필드 투자란 기업이 해외에 직접 생산·영업활동 기반을 새로 구축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 같은 글로벌 경제 분절화는 미국 기업의 해외투자와 국경 간 인수·합병(M&A) 거래에서도 '프렌드쇼어링'(우방국 중심 투자)과 '니어쇼어링'(근거리 투자) 형태로 더욱 뚜렷해지는 양상이다.
다만, 국금센터는 트럼프 행정부가 기대하는 폭발적인 투자 급증이 실현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관측했다.
미국의 관세 장벽을 피하고자 현지 투자를 발표했던 기업들이 실제로 계획을 이행할지 불투명한 가운데, 해외 각국 정부가 약속한 FDI 목표치를 달성하기도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씨티는 "기업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고율 관세가 얼마나 지속되는지 판단이 명확해질 때까지 투자 결정을 피할 것"이라며 "FDI는 예측가능한 정책 환경을 선호하며, 높은 정책 불확실성은 오히려 대미 투자를 망설이게 만드는 역효과를 낳는다"고 평가했다.
BNP 파리바는 "특히 한국의 투자 약속은 평균 FDI 규모를 크게 뛰어넘는 비현실적 수치며 정부가 민간기업 투자를 강제하기 어려울 것"이라면서 "유럽의 에너지 구매 약속(7천500억 달러)도 러시아 대신 미국에 에너지 안보를 의존하게 되는 전략적 위험이 존재한다"고 진단했다.
이은재 국금센터 부전문위원은 "세계 경제 둔화와 세계화 퇴보 흐름을 고려하면 글로벌 FDI 규모는 최근 수년과 마찬가지로 정체 국면을 이어갈 것"이라며 "이 과정에서 '글로벌 사우스' 국가들이 중국의 전략적 지원에 힘입어 새로운 무역 중심으로 부상하고, 중국 다국적 기업이 핵심 플레이어로 자리잡는 구조적 변화까지 예상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 부전문위원은 "현 행정부의 대규모 감세 법안(OBBBA) 발효로 낮아진 미국 법인세율은 외국 기업들에 새로운 투자 인센티브를 제공하지만, 고율 관세는 무역 개방도(무역량)를 떨어뜨리고 미국 내 높은 인건비도 FDI 유입을 저해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jykim2@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주의사항
※본 리포트는 한국무역보험공사가 외부기관으로부터 획득한 자료를 인용한 것입니다.
※참고자료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