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환시] 달러 상승…美 제조업 '깜짝' 확장세 전환
(뉴욕=연합인포맥스) 최진우 특파원 = 미국 달러화 가치가 상승했다.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 가치를 반영하는 달러인덱스(DXY)는 미국의 제조업 경기가 시장 예상과 달리 확장세로 전환하자 강세 압력을 받으며 98대 중후반까지 올라섰다.
연합인포맥스(화면번호 6411)에 따르면 21일 오후 4시 현재(이하 미 동부시각) 뉴욕 외환시장에서 달러-엔 환율은 148.370엔으로, 전장 뉴욕장 마감가 147.324엔보다 1.046엔(0.710%) 상승했다.
달러인덱스는 98.654로 전장보다 0.416포인트(0.423%) 높아졌다.
달러는 뉴욕장 들어 시장 예상을 웃돈 미국 제조업 경기에 반응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글로벌에 따르면 8월 미국의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 이하 예비치)는 55.4로 시장 전망치(54.2)를 상회했다.
제조업 PMI는 53.3으로 전달(49.8)보다 3.5포인트 상승했다. 경기 확장과 위축을 가르는 기준선 '50'을 한 달만에 회복했다.
시장에서는 49.5로 소폭 하락했을 것으로 점쳤으나 반대 결과가 나왔다. 8월 수치는 39개월 만의 최고치다.
S&P 글로벌의 크리스 윌리엄스 수석 비즈니스 이코노미스트는 "8월 PMI가 강하게 나온 것은 미국 기업들이 3분기 들어 강한 실적을 보인다는 신호를 추가로 보여준다"면서 "데이터는 경제가 연율로 2.5% 성장하는 것과 일치하며, 이는 올해 상반기 1.3%보다 높다"고 강조했다.
금리 인하 기대감이 후퇴하면서 달러인덱스는 미 국채 금리 상승과 맞물려 장중 98.685까지 오르기도 했다.
베스 해맥 미국 클리블랜드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이날 "내가 가진 정보를 기준으로, 회의(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내일 열린다면 금리를 인하할 근거를 찾기 어려울 것"이라고 평가했다.
시장 참여자는 오는 22일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의 잭슨홀 심포지엄 연설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골드만삭스는 "파월 의장은 FOMC가 양방향 리스크에 대응할 충분한 준비가 돼 있음을 언급하면서 7월 고용보고서 이후 노동시장의 하방 리스크가 커졌음을 강조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파월 의장은 9월 금리 인하를 명확하게 시사할 것으로 기대하진 않지만, 연설을 통해 시장에 금리 인하를 지지할 가능성이 있음을 분명하게 보여줄 것"이라고 내다봤다.
유로-달러 환율은 1.16050달러로 전장보다 0.00479달러(0.411%) 하락했다.
미국처럼 유로존의 민간경기도 좋았다. 유로존의 8월 합성 PMI는 51.1로 15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시장 예상치 50.6과 전월치 50.9를 모두 상회했다.
유로-달러 환율은 런던 장에서 1.16626달러까지 올라서기도 했지만 뉴욕장에서 달러가 강해지자 약세 압력을 받았다.
함부르크상업은행(HCOB)의 사이러스 드 라 루비아 이코노미스트는 "제조업과 서비스업 모두 경제활동이 회복되고 있다"면서 "전반적으로 지난 3개월 동안 성장세가 소폭 가속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파운드-달러 환율은 1.34127달러로 전장보다 0.00414달러(0.308%) 내려갔다.
영국의 8월 합성 PMI는 53.0으로 1년 만에 가장 높았다. 전망치(51.6)를 웃돌기도 했다.
윌리엄슨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영국 PMI 예비치는 봄철 부진 이후 여름 동안 경제성장 속도가 가속화됐다는 것을 의미한다"면서 "확장 속도는 1년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고, 서비스업에 성장을 주도하긴 했지만, 제조업 역시 안정 조짐을 나타냈다"고 평가했다.
역외 달러-위안(CNH) 환율은 7.1835위안으로 전장 대비 0.0024위안(0.033%) 소폭 올라갔다.
jwchoi@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주의사항
※본 리포트는 한국무역보험공사가 외부기관으로부터 획득한 자료를 인용한 것입니다.
※참고자료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