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유가] 금리인하 열어둔 파월에 사흘째 상승…WTI 0.2%↑
(뉴욕=연합뉴스) 최진우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국제유가는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이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열어둔 가운데 사흘 연속 상승했다.
22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0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 대비 0.14달러(0.22%) 오른 배럴당 63.66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파월 의장은 이날 미국 와이오밍주(州)에서 열린 잭슨홀 심포지엄에서 "고용 하방 리스크가 증가하고 있음을 시사한다"면서 "이 리스크가 현실화하면, 급격한 해고와 실업률 상승으로 빠르게 나타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정책이 제약적(restrictive) 영역에 있는 상황에서 기본 전망과 위험 균형의 변화는 정책 기조 조정을 정당화할 수도 있다"고 제시했다.
시장은 파월 의장의 발언을 '비둘기파'적으로 받아들였고, WTI는 위험자산 선호가 강해지면서 장중 63.92달러까지 올라서기도 했다. 뉴욕증시의 주요 지수는 모두 큰 폭의 강세를 보였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정상회담 성사 가능성이 불투명해진 것도 유가에 강세 압력을 준 요인으로 분석된다.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이날 NBC와 인터뷰에서 "현재 회담 계획은 없다"면서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정상회담 의제가 준비되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만날 준비가 돼 있지만, 그 의제가 전혀 준비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후 백악관에서 러시아에 대한 제재 가능성을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나는 사람들을 전쟁에서 벗어나게 하고 싶다"면서 "러시아 관련해서 2주 후에 어떤 조처를 할지 결정할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그러면서 대규모 제재 또는 관세 등을 거론했다.
ING는 이날 노트에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휴전 가능성이 작아질수록 미국의 러시아 제재가 강화할 가능성이 커진다"고 평가했다.
UBS의 상품 분석가인 지오바니 스타우노보는 "모든 사람이 트럼프 대통령의 다음 움직임을 기다리고 있다"면서 "앞으로 며칠 동안 특별한 움직임은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jwchoi@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주의사항
※본 리포트는 한국무역보험공사가 외부기관으로부터 획득한 자료를 인용한 것입니다.
※참고자료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