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S "CBDC 발행 동기는 중앙은행 화폐 역할 보존"
세계 93개국 중앙은행 설문조사 결과
(서울=연합뉴스) 한지훈 기자 = 각국 중앙은행이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BDC)를 추진하는 핵심 동인은 기존 화폐 역할을 보존하기 위한 것이라는 국제결제은행(BIS) 조사 결과가 나왔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BIS는 최근 보고서에서 "중앙은행 화폐의 역할 보존이 CBDC 연구의 핵심 동인"이라고 밝혔다.
이런 결론은 BIS가 지난해 말 세계 93개 중앙은행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를 분석한 것이다. 이들 은행 중 91%에 달하는 85곳이 CBDC를 연구하고 있었다.
BIS는 "소매용 CBDC를 연구하는 중앙은행의 거의 80%와 도매용 CBDC를 연구하는 중앙은행의 75%가 중앙은행 화폐 역할을 보존하는 것을 잠재적 발행의 중요한 또는 매우 중요한 이유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이들 은행은 현금 사용이 감소하는 가운데 소매용 CBDC가 대안을 제공함으로써 중앙은행 화폐의 역할을 고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언급했다.
다른 중앙은행들은 소매용 CBDC가 화폐의 단일성을 지원하고, 화폐와 금융 시스템 전반에 대한 신뢰를 보장할 수 있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중앙은행들은 또 도매용 CBDC의 경우 토큰 증권 등 거래의 결제 자산으로서 중앙은행 화폐의 역할을 보존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여기서 소매용 CBDC는 일반 개인이나 기업을 대상으로 발행되는 것을, 도매용 CBDC는 금융기관 간의 대규모 결제와 거래를 위해 사용되는 것을 각각 가리킨다.
반면, 선진국과 신흥시장 및 개발도상국 중앙은행 모두 CBDC 발행 동기로 금융안정이나 통화정책 이행을 중시하는 답변은 많지 않았다.
BIS는 소매용 CBDC와 관련, "국내 결제 효율성 개선과 결제 안전성 제고가 또 다른 주요 동인"이라며 "이런 동기는 최근 몇 년 동안 상당한 탄력을 얻었다"고 분석했다.
hanjh@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주의사항
※본 리포트는 한국무역보험공사가 외부기관으로부터 획득한 자료를 인용한 것입니다.
※참고자료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