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9월 및 중장기 달러-원 전망-①
  • 일시 : 2025-08-29 08:00:05
  • [표] 9월 및 중장기 달러-원 전망-①



    ◇이현환 IM뱅크 과장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압박, 고용시장 불안으로 인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비둘기파적인 스탠스로 달러 약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한다.

    ┌─────────┬─────────┬────────┬────────┐

    │2025년 9월 전망치 │ 2025년 4분기 │ 2026년 1분기 │ 2026년 2분기 │

    ├─────────┼─────────┼────────┼────────┤

    │ 1,340~1,390 │ 1,370 │ 1,350 │ 1,340 │

    └─────────┴─────────┴────────┴────────┘



    ◇오주영 신한은행 과장

    잭슨홀 미팅에서 파월 의장의 연설이 비둘기파적으로 해석됐음에도 여전히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지켜보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또한 3분기부터 물가에 본격적으로 반영될 관세 효과에 대한 경계감은 연준의 9월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를 일부 희석시키는 요인이다. 미국 9월 FOMC를 소화하며 달러-원 환율도 완만한 하락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국내 정책 불확실성에 외국인 투자자들도 8월 들어 국내 주식시장에서 순매도로 전환했고, 대미 투자에 따른 달러화 수요 증가에 달러-원 환율의 하단은 경직돼 레인지 흐름 이어갈 전망이다.

    ┌─────────┬─────────┬────────┬────────┐

    │2025년 9월 전망치 │ 2025년 4분기 │ 2026년 1분기 │ 2026년 2분기 │

    ├─────────┼─────────┼────────┼────────┤

    │ 1,360~1,400 │ 1,370 │ 1,350 │ 1,330 │

    └─────────┴─────────┴────────┴────────┘



    ◇정용호 KB증권 부부장

    미국의 금리 인하 기대감에도 기존 해외투자에 관세 및 관련 미국 투자 수요 더해지며 결제 수요가 강할 전망이다. 코스피 상승 동력이 약해지면서 외국인 주식 매도세가 이어지는 점도 하단을 지지하는 요인이다.

    ┌─────────┬─────────┬────────┬────────┐

    │2025년 9월 전망치 │ 2025년 4분기 │ 2026년 1분기 │ 2026년 2분기 │

    ├─────────┼─────────┼────────┼────────┤

    │ 1,370~1,420 │ 1,390 │ 1,390 │ 1,390 │

    └─────────┴─────────┴────────┴────────┘



    ◇김민수 IBK기업은행 차장

    원화는 8월에 상대적으로 약세를 보였다. 한미 정상회담이 무난히 마무리된 가운데, 미국의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금리 결정 회의에서 금리 인하가 유력시되는 분위기다. 이에 9월에는 달러-원도 레벨을 차츰 낮출 것이다.

    ┌─────────┬─────────┬────────┬────────┐

    │2025년 9월 전망치 │ 2025년 4분기 │ 2026년 1분기 │ 2026년 2분기 │

    ├─────────┼─────────┼────────┼────────┤

    │ 1,350~1,410 │ 1,370 │ 1,360 │ 1,350 │

    └─────────┴─────────┴────────┴────────┘



    ◇전용진 우리은행 과장

    잭슨홀 미팅 이후 발생한 미국의 금리 인하 기대감이 생각보다 빠르게 식으면서 하방이 경직된 모습을 보일 것으로 생각된다. 9월 FOMC에서 25bp(1bp=0.01%포인트) 금리 인하를 하더라도 작년 말처럼 매파적인 발언과 함께 금리 인하를 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도 달러-원 환율 하방을 막는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

    │2025년 9월 전망치 │ 2025년 4분기 │ 2026년 1분기 │ 2026년 2분기 │

    ├─────────┼─────────┼────────┼────────┤

    │ 1,370~1,400 │ 1,360 │ 1,350 │ 1,350 │

    └─────────┴─────────┴────────┴────────┘



    ◇김준연 KDB산업은행 대리

    프랑스의 정치적 불확실성이 종료되고 유로 약세가 어느 정도 회복된 이후, 미 9월 고용 지표 부진과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에 달러 약세 방향으로의 전환이 이뤄질 것으로 관측한다. 다만, 관세 영향에 따른 물가 상승 우려에 달러의 하락 폭은 제한될 것으로 전망한다. 결국 9월에도 하방을 열어둔 레인지 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한다.

    ┌─────────┬─────────┬────────┬────────┐

    │2025년 9월 전망치 │ 2025년 4분기 │ 2026년 1분기 │ 2026년 2분기 │

    ├─────────┼─────────┼────────┼────────┤

    │ 1,360~1,405 │ 1,355 │ 1,350 │ 1,330 │

    └─────────┴─────────┴────────┴────────┘

    jykim2@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주의사항
    ※본 리포트는 한국무역보험공사가 외부기관으로부터 획득한 자료를 인용한 것입니다.
    ※참고자료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