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화 담보 스테이블코인, 절묘한 시점 등장…日 금리 인상 기대 고조
  • 일시 : 2025-09-01 10:24:08
  • 엔화 담보 스테이블코인, 절묘한 시점 등장…日 금리 인상 기대 고조



    (서울=연합인포맥스) 윤시윤 기자 = 일본의 첫 '엔화 스테이블코인' 승인이 임박한 가운데 일본은행(BOJ)의 연내 금리 인상 전망에 따라 엔화 및 엔화 연동 자산의 매력이 커지고 있다.

    1일(현지시간) 코인데스크US에 따르면 일본 금융청(FSA)은 빠르면 올가을 첫 엔화 표시 스테이블코인을 승인할 예정이다. 도쿄 기반 핀테크 기업 JPYC가 이달 중 자금이체업 등록을 추진 중이며, 스테이블코인 JPYC는 1JPYC=1엔으로 설계돼 엔화 연동 스테이블코인 출시를 주도할 예정이다.



    ◇ 안전자산 엔화에 가치 고정한 스테이블 코인 매력↑

    스테이블코인은 달러, 유로, 엔화 등 외부 자산에 가치를 고정한 암호화폐인만큼 가격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이는 무역·투자·송금·국제결제 등에서 자본 이전을 원활히 하고 기존 암호화폐의 변동성을 회피하는 수단으로 기능한다.

    반면 비트코인 가격의 경우 가격 변동성이 여전히 커 안전자산인 엔화를 담보로 한 스테이블 코인에 대한 수요는 더욱 커질 전망이다.

    JPYC 외에도 도쿄 소재 금융서비스사 모넥스그룹 역시 국제 송금 및 기업결제를 위한 엔화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검토 중이다.

    모넥스그룹 회장 마쓰모토 오키는 현지 언론에 "스테이블코인 발행에는 막대한 인프라와 자본이 필요하지만, 우리가 하지 않으면 뒤처질 수 있다"고 말했다.

    최근 비트코인 가격이 약세를 보이면서 투자자들은 오히려 스테이블코인의 안정적 성격에 주목하고 있는 셈이다.



    ◇ BOJ 금리 인상 임박…엔화 연동 스테이블 코인 수요 자극

    특히 BOJ가 올해 10월 또는 12월에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전망된 만큼 엔화 연동 스테이블 코인에 대한 수요는 더욱 커질 수 있다.

    코인데스크US는 "2022년 미국 연준의 금리 인상 사이클이 달러 스테이블코인 수요를 자극했던 것처럼, 이번 BOJ의 금리 인상도 엔화 연동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투자 수요를 높일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자산 규모 기준 일본 최대 지방은행 중 하나인 호쿠호쿠파이낸셜그룹의 나카자와 히로시는 "조건이 순조롭다면 BOJ는 10월이나 12월 금리를 인상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BOJ는 지난해 7월 정책금리를 0.1%에서 0.25%로, 올해 1월 다시 0.25%포인트 인상한 이후 지금까지 동결을 유지해왔다.

    다만, 2022년 5월 테라(LUNA) 붕괴는 일시적으로 스테이블코인의 신뢰를 훼손한 바 있다.



    ◇ 日 국채 금리 상승…엔화 표시 비트코인 가치 약세

    일본 국채(JGB) 장기물 금리가 수십 년 만의 최고 수준으로 치솟고 있는 점도 BOJ의 금리 인상 기대를 반영한다.

    연합인포맥스(화면번호 6531)에 따르면 30년물 JGB 금리는 지난달 27일 3.2%를 넘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10년물 금리 또한 같은 날 1.6330%까지 오르며 2008년 이후 최고 수준에 도달했다.

    미국과 일본의 10년물 국채 금리차는 2.59%로 축소됐다.

    미·일 금리차는 달러-엔 환율과 밀접하게 움직인다.

    매크로마이크로의 회귀분석에 따르면 달러-엔 환율은 144.43엔 수준이 적정이며, 지난 달 29일 종가는 146.993엔을 기록했다. 이는 엔화 추가 강세 가능성을 시사한다.

    엔화 강세와 금리 인상 전망에 따라 엔화 표시 비트코인 가격의 경우 약세 압력을 받을 수 있다.

    일본 거래소 비트플라이어에 상장된 비트코인-엔 환율은 이미 이달 들어 8% 하락하며 7월 9일 이후 최저치로 내려갔다.

    코인데스크US는 기술적 분석을 통해 "일일 차트상 '더블 톱(Double Top)' 약세 반전 패턴까지 나타나 추가 하락 가능성도 있다"며 "비트코인의 엔화 표시 가격에 추가 하방 압력이 남아 있다는 의미"라고 덧붙였다.



    syyoon@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주의사항
    ※본 리포트는 한국무역보험공사가 외부기관으로부터 획득한 자료를 인용한 것입니다.
    ※참고자료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목록